['건설' 1등산업으로 키우자] (4) 건설인력 수급구조 '후진국'

건설산업이 갖고 있는 장점 가운데 하나인 일자리 창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낙후된 건설 기능인력 수급체계 개선이 시급하다. 국내 건설 기능인력의 수급은 대개 새벽시장이나 민간용역센터 등에서 직거래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들 민간 용역시장에서는 기능인력에 대한 관리체계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효율적인 취업 및 고용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다시 말해 '일할 현장과 일할 사람' 간의 정보체계 부실로 기능인력의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새벽 인력시장에 의존하는 전근대적 유통구조 건설업체들은 아직도 현장에서 긴급히 필요한 기능인력을 대부분 새벽 인력시장이나 민간 용역업체에서 조달한다. 이들 용역시장은 우선 기능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없다. 그저 몰려드는 사람을 모아서 일선 현장에 중개해 주거나 해당 업체들이 직접 구해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직종별 기능인력이 다양하지 못할 뿐더러 인력 수도 충분하지 않다. 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건설 기능인력과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해 '건설인력관리센터'를 설립했으나 관련 제도 부실과 건설현장 및 기능인력의 무관심으로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건설 기능인력 공급기관은 고용안정센터 1백22개,인력은행 20개,일일취업센터 16개 등 공공직업안정기관이 1백58개 있고 용역센터로 불리는 전국의 민간 유료직업소개소가 4천6백18개에 달한다. ◆정부·업계 공동으로 인력관리체계 마련해야 건설인력에 대한 전담관리기구 마련이 시급하다. 건설인력은 진·출입이 빈번하기 때문에 기능인력의 경력관리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정부와 업계도 지난 2002년부터 건설 기능인력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나섰다. 정부는 앞으로 이들 DB를 건설단체연합회의 건설인력관리센터와 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등 민간단체가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국토연구원 김민철 책임연구원은 "건설 기능인력 수급 안정은 향후 건설산업의 존립과 직결되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하고 민간이 운영하는 형태의 건설 기능인력 관리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박영신 기자 ys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