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포럼] 과학방송 설립 타당한가
입력
수정
김경식 < 노설위원 >
인터넷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른바 정보의 홍수시대를 맞고 있다.하지만 과학기술 정보에 접근하기는 여전히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우리 국민 가운데 19.3%만이 과학기술 정보를 얻고 있으며,그나마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TV나 라디오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는 과학문화재단의 여론조사 결과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과학기술 정보 입수가 이처럼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과학기술 자체가 전문적이고 복잡할 뿐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속도가 워낙 빨라 일반 국민들이 이를 따라잡기가 어려운 탓으로 돌릴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요인으로는 과학기술 정보전달과 과학대중화에 필요한 콘텐츠와 미디어의 부족문제를 꼽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위성과 케이블 TV를 포함해 수없이 많은 채널 가운데 과학전문방송은 아직까지 단 한 곳도 없다.사회적 영향력이 가장 큰 지상파 방송의 경우 과학관련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편성시간의 5%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방송에서 마련한 과학 프로그램은 6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중단돼 버리기도 했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전문 인력난에다 장비 콘텐츠 부족 등으로 인해 엄청난 제작비를 투입하더라도 우수한 프로그램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형편이다.
특히 시청률에 목을 매고 있는 우리 실정에서 눈길을 끌기 어려운 과학 프로그램을 편성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큰 걸림돌은 수익성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과학TV의 경우 광고수주가 어렵기 때문에 흑자를 내기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문제는 참여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과학기술 정보의 대중화와 과학문화 확산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이러한 여건을 탓하고만 있을 수 없다는 점이다.
더욱이 과학TV 사업의 열악한 환경은 다른 나라라고 해서 별반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다.
일본의 사이언스 채널을 비롯 중국의 CCTV-10,영국의 BBC Knowledge 등이 국가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국회를 비롯 정부,민간단체 등에서 과학방송 설립을 추진하고 나선 것은 주목할 만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는 20일 '한국과학방송공사' 설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는가 하면,과기부도 과학TV채널 설립을 위한 실무작업반을 이달중 가동할 예정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과학문화재단과 민간단체에서도 과학방송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물론 과학방송 설립 추진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과학기술TV채널 설립 추진위원회는 2003년 11월17일 과기부에서 첫 회의를 열고 위성채널 가운데 하나를 과학전문채널로 확보하기로 결정한데 이어 관련 예산 40억원까지 따냈지만 국회 국정감사 과정에서 경제성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면서 결국 사업 성사 일보직전에 무산된 바 있다.이번에도 경제성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일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국회를 비롯 정부와 산하단체 등이 지난번 실패를 거울 삼아 이번에는 사업을 성사 시킬수 있을지 주목된다.
인터넷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른바 정보의 홍수시대를 맞고 있다.하지만 과학기술 정보에 접근하기는 여전히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우리 국민 가운데 19.3%만이 과학기술 정보를 얻고 있으며,그나마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TV나 라디오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는 과학문화재단의 여론조사 결과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과학기술 정보 입수가 이처럼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과학기술 자체가 전문적이고 복잡할 뿐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속도가 워낙 빨라 일반 국민들이 이를 따라잡기가 어려운 탓으로 돌릴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요인으로는 과학기술 정보전달과 과학대중화에 필요한 콘텐츠와 미디어의 부족문제를 꼽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위성과 케이블 TV를 포함해 수없이 많은 채널 가운데 과학전문방송은 아직까지 단 한 곳도 없다.사회적 영향력이 가장 큰 지상파 방송의 경우 과학관련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편성시간의 5%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방송에서 마련한 과학 프로그램은 6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중단돼 버리기도 했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전문 인력난에다 장비 콘텐츠 부족 등으로 인해 엄청난 제작비를 투입하더라도 우수한 프로그램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형편이다.
특히 시청률에 목을 매고 있는 우리 실정에서 눈길을 끌기 어려운 과학 프로그램을 편성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큰 걸림돌은 수익성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과학TV의 경우 광고수주가 어렵기 때문에 흑자를 내기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문제는 참여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과학기술 정보의 대중화와 과학문화 확산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이러한 여건을 탓하고만 있을 수 없다는 점이다.
더욱이 과학TV 사업의 열악한 환경은 다른 나라라고 해서 별반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다.
일본의 사이언스 채널을 비롯 중국의 CCTV-10,영국의 BBC Knowledge 등이 국가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국회를 비롯 정부,민간단체 등에서 과학방송 설립을 추진하고 나선 것은 주목할 만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는 20일 '한국과학방송공사' 설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는가 하면,과기부도 과학TV채널 설립을 위한 실무작업반을 이달중 가동할 예정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과학문화재단과 민간단체에서도 과학방송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물론 과학방송 설립 추진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과학기술TV채널 설립 추진위원회는 2003년 11월17일 과기부에서 첫 회의를 열고 위성채널 가운데 하나를 과학전문채널로 확보하기로 결정한데 이어 관련 예산 40억원까지 따냈지만 국회 국정감사 과정에서 경제성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면서 결국 사업 성사 일보직전에 무산된 바 있다.이번에도 경제성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일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국회를 비롯 정부와 산하단체 등이 지난번 실패를 거울 삼아 이번에는 사업을 성사 시킬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