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밀값 10년來 최고치 상승

가뭄 및 폭염과 일부 지역의 병충해로 밀 공급이 재고분 기준으로 근 20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국제 밀 가격이 1996년 이후 최고치로 급등하고 일부 개도국의 식량난 부담까지 가중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11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신문은 런던발로 호주와 아르헨티나, 유럽 및 북미가 특히 밀생산 타격이 크다면서 세계 6위 곡물 수출국인 우크라이나의 경우 병충해까지 겹친 상황에서 밀 수출을 긴급 중단해 다국적 곡물 메이저들과 마찰도 빚고 있다고 전했다.곡물시장 관계자들은 전세계 밀 공급이 지난해에 비해 5% 가량 줄어 3천만t이 하락했다면서 이 때문에 시카고 선물시장 가격이 10일 현재 부셀당 5.24달러로 지난 이틀 사이에만 13% 이상 급등했다고 말했다.

밀값이 이처럼 급등한 것은 지난 1996년 상황을 제외할 경우 1976년 전세계 곡물난이 발생한 후 30년만에 사실상 처음이라고 이들은 강조했다.

주요 밀 수출국인 호주의 경우 올해 생산량이 지난해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2천400만t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호주는 생산된 밀의 70% 가량을 수출해왔다.

호주의 밀 수출이 줄어들면 주요 수입국인 이집트와 나이지리아 및 이라크 등의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신문은 전했다.

런던 소재 곡물투자전문 헤지펀드인 크롬 리버 파트너스 관계자는 "밀 공급난이 단지 이상 기온 때문만이 아니다"라면서 "평소 재고가 워낙 부족한데서 비롯되는 구조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미 농무부가 금주중 공식 발표할 전세계 밀 수급 통계에 따르면 밀 재고는 57일 가량 소비분인 모두 1억2천600만t으로 지난 20년여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12개월간은 그런대로 수급 균형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미국이 내년 봄과 여름에 또 기후 타격을 받을 경우 상황이 심각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투자은행 누미스 관계자는 "밀값 급등의 부담이 결국은 소비자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다"면서 "이 경우 시리얼, 빵, 피자와 파스타 등 필수 식품값이 뛰면 일부 개도국의 경우 정치적 부담까지 안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실제 우크라이나의 경우 지난 3월 총선에서 출범한 신 정부가 밀값 급등에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신문은 별도 기사에서 지적했다.

밀 수급난과 관련해 지난주 우크라이나의 밀 선적을 전면 중단시키면서 수출 라이선스 확보를 의무화시켜 카길과 번지 등 다국적 곡물회사들과도 마찰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밀이 '전략 곡물'이라는 점 등을 들어 카길 등 곡물 메이저들이 급등하기 전의 가격으로 밀을 판매토록 요구해 업계의 반발을 받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jksun@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