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총감독' 김현종 본부장 "美 협상 연장작전 사전에 알았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의 얼굴에는 활기가 넘쳤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을 위해 지난 3월26일부터 4월2일까지 7박8일 동안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카란 바티아 부대표와 '끝장 토론'을 벌였던 사람 같지 않았다.김 본부장은 3일 아침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한·미 FTA 민간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기자와 만났다.

그는 대뜸 "협상 결과에 대한 반응이 좋은 것 같지 않으냐"고 물었다.

협상이 끝난 어젯밤 피곤했을 텐데도 "한·미 FTA 관련 뉴스를 모두 챙겨 봤다"고 했다.'협상에서 최대 성과가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아직 정리가 안 돼 뭐라고 말하기가 그렇다"면서도 쌀을 지켜낸 것과 한반도 역외가공지역위원회를 두기로 한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눈치였다.

"향후 북·미 관계가 진전되면 개성뿐만 아니라 북한의 다른 지역도 역외가공 지역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

'협상에서 뭐가 가장 어려웠느냐'는 질문에는 "다 어려웠지 뭐,전체적으로 다 어려웠다"면서 "만약 협상이 결렬됐다고 생각하면 지금 어떻겠는가"라고 잠시 뜸을 들이기도 했다.김 본부장은 협상 시한이 막판에 두 번이나 연장된 데 대해 묻자 "우리는 미국의 (연장) 작전을 이미 다 짐작하고 있었다"며 싱긋 웃었다.

김 본부장은 마지막으로 "우리 기업인들이 한·미 FTA로 마련된 드넓은 무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줬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밝혔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