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 관련 로열티 수입 급증세

한국의 정보통신 분야가 기술종속에서 벗어나 로열티(수입 기술료)를 받는 선진국 구조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정보통신부와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3.6Gbps 속도를 낼 수 있는 4세대 무선전송시스템을 개발한 것처럼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 등 한국의 원천기술이 속속 세계 표준으로 인정됨에 따라 로열티 수입이 늘어나고 있다.한 예로 무선인터넷 멀티미디어 솔루션 전문벤처기업인 네오엠텔은 이미지나 간단한 동영상을 휴대전화에서 볼 수 있도록 한 자사의 원천기술인 화상ㆍ동영상 압축 및 전송 솔루션인 SIS(Simple Image Solution)로 지난해 미국 퀄컴사에서 전체 매출 102억원의 31.4%인 32억5천만원을 받았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ETRI도 미국 퀄컴과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상용화 기술을 공동개발하면서 지난 1992년 체결한 합의서에 따라 퀄컴으로부터 기술 로열티를 받고 있다.

ETRI의 지난해 전체 로열티 수입은 511억원 정도이다.이 같은 추세를 반영하듯 지난 2002년 이후 지금까지 한국은 총 111건의 국제표준특허를 확보했으며, 특히 투자액 대비 로열티로 측정한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의 연구 생산성은 지난해 10.5%로 미국의 공공 연구개발(R&D) 연구생산성과 유사한 수준이다.

지난 2000년 로열티 사용료 수입은 6억9천만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6년에는 국내 기업들의 로열티 수입은 20억1천만달러로 대외지급액 44억9천만달러의 절반에 육박했다.6년만에 3배인 20억달러 선을 돌파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올 1~7월 특허권 등의 사용료 수입액은 12억3천7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5% 증가한 반면 특허권 등의 사용료 해외지출액은 27억8천만 달러로 이 기간 중 10.7% 증가하는 데 그쳤다.정통부는 이에 따라 3세대(G) 이동통신 시스템, 기가급 디지털 케이블 송수신 시스템, 휴대전화 RFID 리더 등 주요 R&D 과제를 계속 지원하고, DVB-H(노키아 주도), MediaFLO(퀄컴 주도) 등과 함께 치열한 국제경쟁이 전개되고 있는 휴대 방송 분야에서 DMB 기술의 세계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번주 제네바에서 열리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총회에서 6번째 IMT-2000 표준안으로 상정될 와이브로(WiBro)가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다.

정통부는 내년도 IT신성장동력 기술개발 사업에 총 4천673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rhew@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