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준화=학력저하 '맞네' ‥ SKY 진학 3분의1 격감

최근 평준화지역으로 편입된 고교의 명문대 진학 실적이 비평준화 시절에 비해 뚝 떨어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빅3 대학’의 합격자 수만 놓고 비교하면 평준화 이후 비평준화 시절보다 최대 3분의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0일 연세대 경제학과 한순구 교수와 성태윤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 ‘평준화와 비평준화’를 미국의 경제학술지인 ‘이코노믹레터스(economic letters)’에 게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논문은 2000년 이후 평준화 지역으로 바꾼 울산,분당,고양 등 10개 지역 115개 고교의 ‘빅3 대학’ 진학률 변화를 분석했다.그 결과 이 지역 고교들의 ‘빅3 대학’ 진학 학생 수는 평준화 이전과 이후를 합해 연평균 18.3명이었다. 평준화 전후를 비교하면 6.5명의 차이가 난다. 평준화 이후 '빅3'대 합격생 수가 최대 3분의 1 이상 줄었다는 얘기다. 평준화가 상위권 학생들의 학력을 저하시킨것으로 풀이된다.

논문에 따르면 사립과 공립,학교의 역사,졸업생의 증감 등의 변수를 감안해 계산해 봐도 ‘빅3 대학’ 진학률이 평준화 이후 떨어진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었다.눈여겨볼 대목은 이들 고교 출신 학생들의 연세대와 고려대 진학률이 서울대에 비해 눈에 띄게 떨어졌다는 것.평준화를 전후해 서울대 진학 학생은 학교당 평균 0.6명이 줄어드는데 그친 반면 연세대와 고려대는 5.9명이나 감소했다.

이처럼 서울대로의 진학율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내신반영 비율이 연세대,고려대 보다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떨어진 학력을 내신에서의 ‘평준화 효과’로 극복했다는 뜻이다.평준화 지역 상위권은 엇비슷한 수준의 비평준화 지역 상위권에 비해 내신이 높게 나오는 특성이 있다.

연세대 교수들의 이 같은 연구결과는 지난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당시 KEDI는 “일반계 고교생 8588명의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평준화 지역 학생들의 학력이 비평준화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평준화가 고교의 학력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당시 KEDI의 연구에 대해 일부 교육 전문가들은 “주로 대도시가 평준화 지역으로,읍·면지역이 비평준화 지역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동일한 생활수준을 가진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을 비교하면 다른 결과가 나왔을 것이다”라며 KEDI의 논리를 반박했고 이는 ‘평준화 효과 논란’으로 이어졌다.

성선화 기자 d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