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티베트의 비극, 중국의 딜레마
입력
수정
이희옥 < 성균관대 교수·정치외교학 >
올해 중국외교가에는 '38선문제'라는 정치유머가 유행하고 있다.이것은 3월(22일)에 있을 대만 총통선거,8월에 열리는 베이징 올림픽,북핵(北核)으로 상징되는 38선 문제에 대한 중국 당정의 우려를 담고 있다.
그러나 정작 3월 티베트 사태가 이러한 우려를 현실로 바꾸어 놓았으며,막 출범한 제2기 후진타오 체제를 정치적 시험대에 올려놨다.
티베트 사태는 연간 10만건 이상으로 추산되는 일반적인 중국의 군중시위와 달리 중국정부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영토와 주권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겨냥하고 있다.티베트인 입장에선 거대한 물리적 장벽 앞에 가로막혀 있는 셈이다.
티베트의 비극은 바로 여기에 있다.
사실 티베트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1951년 중국에 합병된 이후 티베트의 분리와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끊이지 않았으며,인도에 거점을 둔 망명정부의 활동도 활발하게 전개돼 왔다.
이런 점에서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티베트인들이 티베트 문제를 국제이슈화하려는 시도는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달라이 라마도 지난해 미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2008년이 관건이 될 것이다.올림픽은 티베트인들의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었다.
실제로 이 사건의 도화선이 된 인도의 티베트청년회가 '걸어서 티베트까지'라는 활동을 벌인 것도 이러한 올림픽 효과를 극대화하고 1989년 티베트사태를 무력으로 진압한 후진타오에 대해 항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후 주석은 당시 티베트 시짱자치구 당서기였다.
중국정부도 이러한 이유 때문에 티베트 지역의 민감성을 예의 주시해왔다.
중국정부는 민족구역자치론과 다민족 통일국가론에 입각해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하면서도 중국에 동화시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무엇보다 티베트사회를 '외곽을 때리는 노련한 방법'으로 세속화시키고자 했다.
한족을 이 지역에 이주시켜 티베트인과 어울려 살게 하는 잡거(雜居)정책을 추진했으며,지역경제 개발과 자원 개발을 위해 막대한 국가재정을 투자했다.
2006년 베이징에서 라싸까지 가는 열차의 개통은 티베트를 중국으로 한 걸음 더 끌어들이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결과 불과 티베트인구의 3.3%를 차지하는 한족이 티베트의 모든 상권을 장악했고 티베트주민들은 이등시민으로 밀려나게 됐다.
이처럼 티베트인의 분리독립을 향한 열망에는 한족 지배질서에 대한 불만이나 종교세속화에 대한 반발도 깊게 침투돼 있는 것이었다.
문제는 티베트 사태에 대한 평화적 해결전망이 어둡다는 점이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부정적 여론에도 불구하고 분리독립의 도미노현상을 막고 '안정이 모든 것을 압도한다'는 원칙을 반복하고 있다.
더 나아가 티베트 문화를 농노제도의 폭압 속에 있는 봉건잔재라 규정하면서 대중에 대한 선전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티베트사태는 단순한 내부문제가 아니라 인권,민주화,종교,대만 등의 이슈를 통해 중국을 약화시키려는 이른바 평화전복세력(peaceful evolution)과의 결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번 사태로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지도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조화외교나 매력공세(charming offensive),제3세계에 대한 기여외교는 빛을 잃게 됐다.
오히려 중국의 부상에 대한 우려와 '인권 없이 올림픽 없다'는 따가운 국제여론에 직면해 있다.따라서 중국은 티베트문제를 문명공존의 관점에서 차이를 인정하고 공통점을 찾아가는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자세를 다시 한번 발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새롭게 떠오르는 제국의 품위와 관련된 문제이자 이웃 국가들이 중국을 바라보는 우려이기도 한 것이다.
올해 중국외교가에는 '38선문제'라는 정치유머가 유행하고 있다.이것은 3월(22일)에 있을 대만 총통선거,8월에 열리는 베이징 올림픽,북핵(北核)으로 상징되는 38선 문제에 대한 중국 당정의 우려를 담고 있다.
그러나 정작 3월 티베트 사태가 이러한 우려를 현실로 바꾸어 놓았으며,막 출범한 제2기 후진타오 체제를 정치적 시험대에 올려놨다.
티베트 사태는 연간 10만건 이상으로 추산되는 일반적인 중국의 군중시위와 달리 중국정부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영토와 주권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겨냥하고 있다.티베트인 입장에선 거대한 물리적 장벽 앞에 가로막혀 있는 셈이다.
티베트의 비극은 바로 여기에 있다.
사실 티베트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1951년 중국에 합병된 이후 티베트의 분리와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끊이지 않았으며,인도에 거점을 둔 망명정부의 활동도 활발하게 전개돼 왔다.
이런 점에서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티베트인들이 티베트 문제를 국제이슈화하려는 시도는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달라이 라마도 지난해 미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2008년이 관건이 될 것이다.올림픽은 티베트인들의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었다.
실제로 이 사건의 도화선이 된 인도의 티베트청년회가 '걸어서 티베트까지'라는 활동을 벌인 것도 이러한 올림픽 효과를 극대화하고 1989년 티베트사태를 무력으로 진압한 후진타오에 대해 항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후 주석은 당시 티베트 시짱자치구 당서기였다.
중국정부도 이러한 이유 때문에 티베트 지역의 민감성을 예의 주시해왔다.
중국정부는 민족구역자치론과 다민족 통일국가론에 입각해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하면서도 중국에 동화시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무엇보다 티베트사회를 '외곽을 때리는 노련한 방법'으로 세속화시키고자 했다.
한족을 이 지역에 이주시켜 티베트인과 어울려 살게 하는 잡거(雜居)정책을 추진했으며,지역경제 개발과 자원 개발을 위해 막대한 국가재정을 투자했다.
2006년 베이징에서 라싸까지 가는 열차의 개통은 티베트를 중국으로 한 걸음 더 끌어들이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결과 불과 티베트인구의 3.3%를 차지하는 한족이 티베트의 모든 상권을 장악했고 티베트주민들은 이등시민으로 밀려나게 됐다.
이처럼 티베트인의 분리독립을 향한 열망에는 한족 지배질서에 대한 불만이나 종교세속화에 대한 반발도 깊게 침투돼 있는 것이었다.
문제는 티베트 사태에 대한 평화적 해결전망이 어둡다는 점이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부정적 여론에도 불구하고 분리독립의 도미노현상을 막고 '안정이 모든 것을 압도한다'는 원칙을 반복하고 있다.
더 나아가 티베트 문화를 농노제도의 폭압 속에 있는 봉건잔재라 규정하면서 대중에 대한 선전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티베트사태는 단순한 내부문제가 아니라 인권,민주화,종교,대만 등의 이슈를 통해 중국을 약화시키려는 이른바 평화전복세력(peaceful evolution)과의 결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번 사태로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지도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조화외교나 매력공세(charming offensive),제3세계에 대한 기여외교는 빛을 잃게 됐다.
오히려 중국의 부상에 대한 우려와 '인권 없이 올림픽 없다'는 따가운 국제여론에 직면해 있다.따라서 중국은 티베트문제를 문명공존의 관점에서 차이를 인정하고 공통점을 찾아가는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자세를 다시 한번 발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새롭게 떠오르는 제국의 품위와 관련된 문제이자 이웃 국가들이 중국을 바라보는 우려이기도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