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 문화街] 한 무대, 두 오페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오페라단의 '피치 오페라 페스티벌'은 이탈리아 출신의 피에르 루이지 피치가 연출한 두 작품 <아이다>와 <투란도트>를 소개하는 무대다.

특이한 것은 한 작품의 공연 일정이 끝나고 다른 작품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두 작품이 하루 간격으로 같은 무대에서 교차 공연된다는 사실이다.<아이다>는 15.17일,<투란도트>는 16.18일이다.

보통 대형 오페라 무대와 조명 등의 제반 장비 설치에 최소 며칠은 걸리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그 비결은 여기에 있다.먼저 두 작품은 원작에 대한 연출가의 모던한 해석으로 인해 세트 디자인이 상징적이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구체적이면서도 복잡한 고전적인 무대 디자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

결정적으로 두 작품이 주요 세트를 공유하고 있다.

가령 <아이다>의 기본 무대인 피라미드 세트와 <투란도트>의 기본 무대인 계단 세트는 퍼즐처럼 재조립이 가능한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다.조명 역시 두 무대를 포괄적으로 비추도록 했다.

넓은 구역을 커버하며 전체적인 컬러톤과 조도를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한 번 설치로 두 작품을 모두 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여러 작품이 정해진 기간 안에 나열되는 방식의 페스티벌에서 프로덕션 간에 의도적으로 세트를 공유하는 사례가 있는가 하면,제작비 절감을 위해 세트를 재활용하는 사례도 있다.이 경우 반드시 같은 세트 디자이너의 다른 작품이어야 한다.

다른 디자이너의 세트를 자신의 작품에 재활용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

2005년 뮤지컬 <겨울 나그네>에서 무대 배경으로 쓰인 자작나무는 1년 반 정도 뒤 개.보수 과정을 거쳐 2007년 연극 <시련>의 첫 장면에 재등장했다.

두 작품 모두 제작사,연출가,디자이너가 동일하다.

2005년 뮤지컬 <돈키호테>에서 선보여 깊은 시각적 인상을 남긴 해바라기 세트는 같은 해 한국 뮤지컬 대상 시상식장의 무대에 쓰였다.

물론 같은 디자이너의 작품이었고 제작사의 창고에서 무상으로 임대한 것이었다.

영세한 대학로 무대에서는 재활용 비중이 더 높아진다.

눈썰미가 좋은 관객들이라면 한 공연에서 선보인 세트를 다른 공연에서 돌려쓰고 있는 모습을 가끔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연극동아리마다 학내 공연에 필요한 벤치나 가로등을 구한다며 길가에서 멀쩡한 실제 기물을 술김에 뜯어온 선배들의 이야기도 무용담처럼 전해 내려온다.

필요가 없어진 세트는 분해해서 철골이나 재료만이라도 부분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차제에 공동 세트 창고를 두고 서로 재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는 것도 생각해볼 만하지 않을까? 물론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만 가능하겠지만 말이다.

조용신 공연칼럼니스트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