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구멍난 공시제도
입력
수정
정보 불균형으로 투자자들이 손해입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시제도가 운영됩니다. 하지만 실효성이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최은주 기자입니다.
지난 14일 한국경제TV는 CJ그룹이 제빵업계 3위 업체인 기린 인수작업을 추진한다고 단독 보도했습니다.
이튿날 기린의 주가는 상승제한폭까지 올랐다 결국엔 12.6% 하락 마감했습니다.
기린이 "CJ그룹으로의 피인수설은 사실 무근"이라고 장중에 공시하면서 M&A 기대감이 수그러들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기린의 주가는 장중 급등락을 연출하면서 변동성이 확대됐습니다.
매각설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으면서 투자자들은 이 기업이 매각될 지 매각되지 않을지 혼란을 겪은 겁니다.
결국 20일 증권선물거래소는 또다시 조회공시를 요구했고 기린은 "최대주주가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기린이 15일 첫 공시에서 매각설을 부인을 한 것을 믿고 주식을 처분했다면 큰 낭패를 본 셈입니다.
처음부터 최대주주 매각설에 대해 조회공시를 요구했었다면 없었을 혼란입니다.
거래소측은 보도나 풍문의 범위를 넘어선 공시 요구는 자본시장의 자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인터뷰] 증권선물거래소 공시 관계자
"언론에 보도된 CJ 피인수설을 물어봤기 때문에 그 기업은 그 부분만 대답하면 됩니다."
이런 허점은 제일화재와 신흥증권, 이트레이드증권 매각 과정에서도 발견됩니다.
투자자를 위한 공시가 명료하기 보다는 '스무고개 수수께끼' 같아서 오히려 투자자를 골탕 먹이고 있다는 원성이 나오고 있습니다.
WOW-TV NEWS 최은주입니다.
최은주기자 ej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