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늘어난 소비 경기회복 디딤돌 되나

기획재정부가 어제 발표한 5월 소비지표 속보치를 보면 소비심리가 살아나는 분위기가 완연하다. 신용카드 국내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8.7%, 백화점 매출은 5.4% 각각 늘었다. 자동차 내수판매량은 전달의 14.9% 감소세에서 15.3% 증가세로 급반전됐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해주는 결과임이 분명하다.

소비가 이처럼 늘어난 것은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보이고 금융시장이 안정되면서 소비자 심리가 개선(改善)된 데 크게 힘입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가 재정지출을 확대한 것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의 노후차량 세금 감면 및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로 자동차 판매가 급격히 늘어 내수시장 호전에 기여했다. 이런 가운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국제기구들이 한국경제가 회원국 중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보고서까지 내놓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를 부풀리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경기회복을 낙관할 수 있는 상황이 못된다. 호전 추세를 보이는 경제지표가 일부 분야에 국한돼 있는 탓이다.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업투자는 여전히 꽁꽁 얼어붙어 있고 고용사정 또한 부진하기 짝이 없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수출 역시 큰 폭의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우리 경제는 여전히 바닥을 다지는 과정에 있다는 뜻에 다름아니다.

따라서 경계태세를 결코 늦춰선 안될 일이다. 전경련이 "위기대응 정책 기조가 하반기에도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지금은 북한의 권력세습과 핵위협,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에 따른 사회불안 같은 경제외적 변수들까지 겹쳐 있는 상황이어서 불안감이 더욱 크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증시 환율 금리 등 금융시장 안정과 신용경색 완화(緩和)를 꾸준히 추진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아울러 기업 구조조정작업을 차질없이 이행하는 한편 부동자금이 생산 분야로 흘러갈 수 있도록 기업구조조정펀드 녹색성장펀드 등의 조성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 또한 위기가 기회라는 인식 아래 보다 능동적인 자세로 투자 활동에 임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