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프로젝트' 성공위해 민ㆍ관 전략적 협업 필요"

●한경-공학 한림원 토론마당
'우주발사체 자력 개발 전략' 주제

"나로호 발사가 러시아 기술진의 도움으로 성사됐고 비용도 많이 썼다는 지적이 많다.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위성을 쏘아올리고 기술을 축적해 응용한다면 관련 산업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류장수 에이피시스템 회장)

"단기간에 발사체를 개발해 관련 산업을 키우고 해외에 관련 기술을 수출한다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우주산업은 참여 기업 입장에서는 성공을 장담할 수 없을 정도로 리스크가 크다. 현재 2018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한 한국형 발사체가 성공하려면 참여 기업과 연구기관 및 정부가 전략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함명래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부원장)지난 21일 서울 역삼동 한국기술센터에서 '우주발사체 자력 개발 전략'이란 주제로 열린 '제38회 한경-공학한림원 토론마당'은 지난 8월 나로호 발사 이후 순수 국내 기술로 우주발사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발사체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찬성하는 의견을 보였다. 하지만 예산확보,개발기간 및 관련 기업 간 협업 등에 관해서는 다소 시각차를 보였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창진 한국연구재단 우주단장은 "이번 나로호 발사로 인해 발사체와 관련된 많은 기술을 러시아로부터 배웠다고 생각한다"며 "2018년에는 1.5t급의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발사체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물론 2025년에는 달 탐사선을 보낼 수 있는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예산은 약 10년 동안 1조550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실 10년 계획으로 개발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순조롭게 연구개발이 진행된다면 2018년에는 현재 선진국의 약 70% 수준인 발사체 기술을 거의 100% 가까이 국산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패널들은 시간과 비용에서 여유를 갖고 발사체 개발에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함명래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부원장은 "최소한 수십개의 발사체가 실패해 폐기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반복해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예산도 딱 1조5550억원으로 못박을 것이 아니라 적어도 30% 정도는 더 쓸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장수 에이피시스템 회장은 "이번 KSLV 발사는 나로우주센터 시스템 가동 검증을 할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며 "다음에는 자력 발사에 성공해 한국이 우주 강국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