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 쉽게…'100년 아파트' 나온다
입력
수정
콘크리트 대신 철골구조로 건축내년부터 서울에서 조립식 완구인 '레고'처럼 아파트 내부 평면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아파트가 대거 공급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건물이 낡아지더라도 골격은 그대로 둔 채 내부와 설비만 바꾸는 '리모델링'이 수월해져서 아파트 수명이 100년 안팎까지 늘어날 수 있게 된다.
서울시, 내년 공공주택부터 도입
서울시는 건물 안팎을 쉽게 수선할 수 있는 '지속가능형 아파트'를 내년부터 본격 도입한다고 18일 발표했다. 지속가능형 아파트는 건물의 벽체를 자유롭게 움직여 내 · 외부 모양을 쉽게 바꿀 수 있는 구조(철골조,기둥식 철근콘크리트)의 주거단지를 의미한다. 현재 대부분의 아파트는 벽체와 기둥이 건물 전체를 떠받치고 있는 이른바 '벽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다. 따라서 벽체 이동을 통한 평면변경이 어렵다. 자칫하면 건물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하수도,배선 등 각종 설비가 벽 안에 묻히기 때문에 설비교체도 쉽지 않다. 이로써 준공 후 20~30년만 지나면 리모델링도 못해 재건축을 해야 하고,이 때문에 국가적 낭비를 초래해 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속가능형 주택건설이 보편화되면 건물 수명이 100년 안팎으로 길어져 지금의 '재건축 몸살'을 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당장 내년 1월부터 SH공사가 시행하는 아파트와 재개발구역 임대단지 등 공공주택에 이를 의무적으로 도입키로 했다. 민간 아파트도 용적률과 층고 등에서 인센티브를 줘 확산시켜 나갈 방침이다. 인센티브는 용적률 10%포인트,층고 20% 범위에서 건축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아울러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할 때 건축비의 5%만큼 가산 금액으로 인정받아 분양가를 올릴 수 있다.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선 라멘조(철골구조,기둥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설계되고,가스관 등 공용설비시설이 분리돼 있어야 한다. 또 세대 내 화장실 배관 등 전용설비도 분리돼야 한다.
이에 건설업계는 공사비 증가와 설비공간 확보 등 추가비용이 발생,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서울시가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주지 않는 한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는 반응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