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서민 외면하는 저축은행 대출장사
입력
수정
"저축은행은 제3금융권이잖아요. 캐피털 회사보다 이자가 당연히 더 높죠."
최근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들어온 캐피털 회사의 대출 광고를 보고 전화를 걸었다. 상담 직원은 상한금리가 연 25%라고 했다. "웬만한 저축은행보다 훨씬 낮다"는 말도 덧붙였다. "저축은행보다 더 낮을 리가 있느냐"고 묻자 '저축은행 제3금융권론'을 꺼냈다. "일부 저축은행은 대부업체와 맞먹는 대출금리를 받아 업계에서는 저축은행을 카드 캐피털 등이 속한 제2금융권이 아닌 제3금융권으로 취급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 대출금리만 보면 이 같은 비아냥에 저축은행들이 별로 할말이 없을 듯하다. 신용등급 6~10등급 저신용자들에게 적용하는 금리는 최고 연 39~48%로 사실상 대부업체와 같은 수준이다. 저축은행들은 이런 방법으로 고금리 소액 신용대출을 크게 늘렸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작년 6월 말 6조8000억원에서 지난 3월 말 7조3000억원으로 5000억원가량 급증했다.
서민을 대상으로한 고금리 장사는 자산규모 1조원이 넘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주도하고 있다. 대형 저축은행들은 '119머니','와이즈론','알프스론' 등 회사별 브랜드를 알리는 광고를 통해 제도권 금융회사라는 점을 강조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서민금융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도입하기로 한 '서민 보증부 대출'이 7월 중 시행된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신용등급 6등급 이상 저신용자들이 정부와 각 금융회사들이 공동으로 조성한 재원에서 보증을 받아 연 12~15%대 싼 이자율로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 고금리 대출 잔액을 최대한 늘리고 보자는 게 저축은행들의 얄팍한 속셈이었다. 금융감독원도 이 같은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 저축은행의 고금리 영업 행태에 대해 구두 경고를 줬으나 이를 강제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며 "서민 보증부 대출이 시행되면 금리가 내려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먹고 살길이 막막해진 저축은행들의 고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대부업체와 경쟁하라고 정부가 수신 기능을 허용해준 것은 아닐 것 같다.
이호기 경제부 기자 hglee@hankyung.com
최근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들어온 캐피털 회사의 대출 광고를 보고 전화를 걸었다. 상담 직원은 상한금리가 연 25%라고 했다. "웬만한 저축은행보다 훨씬 낮다"는 말도 덧붙였다. "저축은행보다 더 낮을 리가 있느냐"고 묻자 '저축은행 제3금융권론'을 꺼냈다. "일부 저축은행은 대부업체와 맞먹는 대출금리를 받아 업계에서는 저축은행을 카드 캐피털 등이 속한 제2금융권이 아닌 제3금융권으로 취급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 대출금리만 보면 이 같은 비아냥에 저축은행들이 별로 할말이 없을 듯하다. 신용등급 6~10등급 저신용자들에게 적용하는 금리는 최고 연 39~48%로 사실상 대부업체와 같은 수준이다. 저축은행들은 이런 방법으로 고금리 소액 신용대출을 크게 늘렸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작년 6월 말 6조8000억원에서 지난 3월 말 7조3000억원으로 5000억원가량 급증했다.
서민을 대상으로한 고금리 장사는 자산규모 1조원이 넘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주도하고 있다. 대형 저축은행들은 '119머니','와이즈론','알프스론' 등 회사별 브랜드를 알리는 광고를 통해 제도권 금융회사라는 점을 강조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서민금융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도입하기로 한 '서민 보증부 대출'이 7월 중 시행된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신용등급 6등급 이상 저신용자들이 정부와 각 금융회사들이 공동으로 조성한 재원에서 보증을 받아 연 12~15%대 싼 이자율로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 고금리 대출 잔액을 최대한 늘리고 보자는 게 저축은행들의 얄팍한 속셈이었다. 금융감독원도 이 같은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 저축은행의 고금리 영업 행태에 대해 구두 경고를 줬으나 이를 강제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며 "서민 보증부 대출이 시행되면 금리가 내려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먹고 살길이 막막해진 저축은행들의 고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대부업체와 경쟁하라고 정부가 수신 기능을 허용해준 것은 아닐 것 같다.
이호기 경제부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