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태의 월요전망대] 고용ㆍ물가동향 잇단 발표…금통위 회의 주목

이번 주에는 기준금리(한국은행의 정책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열린다. 이에 앞서 금리 결정에 영향을 주는 고용(실업률)과 물가동향이 잇따라 발표된다. 고용-물가-금리 등 서로 밀접한 세 가지 경제 변수가 공교롭게 겹쳐 있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상충하는 관계다.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면 실업률이 증가하고,실업률을 낮추면 인플레이션율이 증가한다. 이를 설명하는 이론이 경제학에서 '필립스 곡선'이다. 가령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하고 생산이 늘어 실업률이 떨어진다. 반면 수요가 감소하면 생산이 줄어들게 돼 실업률이 높아진다. 정책 당국 입장에서 인플레이션과 실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는 어렵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선택했다면 실업률이 올라가는 것을 포기해야 하고,반대로 실업을 피하려면 인플레이션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

정책 당국은 물가안정과 실업해소 가운데 어디에 더 주안점을 두고 있을까. 최근 분위기로 보면 인플레이션 잡기가 더 우선이다. 물가불안 요인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실업률은 치솟는 청년실업률 등이 불안하긴 하지만 어쨌든 전체적으로 3%대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물가불안은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압박이 거세다.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경우 총수요가 그만큼 늘어나게 마련이어서 인플레이션 압력은 하반기로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공급 측면에서 국제유가 상승은 물론 기상 악화에 따른 국제 곡물가격 강세,이로 인한 국내 식료품 가격 상승,공공요금 인상 등이 줄줄이 가세하고 있다. 최근 물가 불안은 9일 발표되는 '7월 생산자물가동향'에서 한번 더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생활필수품 위주로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큰 만큼 소비자물가에 선행하는 생산자물가는 지난 6월 반짝 하락에서 다시 상승세로 반전됐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물가만 놓고 보면 12일 금통위의 금리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해야 할 요인은 충분하다. 나라 안팎에서 물가의 돌발 변수가 속출, 인상 속도가 생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물론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데에는 물가뿐 아니라 경기흐름 고용 세계경제 부동산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반대 요인도 적지 않다. 미국 중국의 성장률 둔화 조짐이 보이는 등 대외 불안요인이 잠재돼 있어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금리를 올리기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다. 하반기 성장률 둔화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때문에 이번 달에는 한 템포 쉴 것이라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11일 발표되는 '7월 고용동향'에서는 실업률보다는 민간 취업자수 증가폭 둔화 여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지난 6월에는 민간부문 취업자가 전 달에 비해 6만3000명 줄어든 45만5000명 증가에 그쳤다. 올 들어 전월 대비 증가폭이 처음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된다면 고용시장 개선은 탄력을 잃을 수 있다.

경제부 차장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