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상생협력, 중소기업 체질강화 노력 뒷받침돼야

대기업들이 하청 관계에 있는 중소기업 지원 대책을 속속 내놓고 있다. 삼성전자는 어제 '상생경영 7대 실천방안'을 발표,최대 1조원 규모의 협력사 지원펀드를 조성해 2,3차 협력사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원자재를 직접 구매해 협력사에 제공키로 했다. 이에 앞서 현대 · 기아차가 자동차 원자재인 철판을 일괄구입 후 협력사에 구입가격으로 공급하는 '사급제도'를 2,3차 협력업체로 확대키로 한 것과 같은 방식이다. 원자재가격 변동에 의한 협력업체의 리스크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또 LG와 포스코 역시 유사한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밝힌 바 있고,전국경제인연합회도 경제단체 차원에서 중소기업과의 상생 및 서민 지원책을 종합해 금명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한다.

주요 대기업들의 실적이 호조를 지속하고 있지만 그 혜택이 중소기업들에 제대로 돌아가지 못함으로써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보면,이런 움직임은 그 동기가 어디에 있든 바람직한 일임에 틀림없다. 특히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우리 대기업들은 그동안의 상당한 사회 공헌 활동에도 불구하고,정작 운명공동체라고 할 수 있는 중소 협력업체와는 '갑과 을'의 수직적 관계가 지속되면서 적지 않은 불만이 쌓여온 것이 사실이다. 결국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관계가 수평적인 공생관계로 바뀌기 위해서는 대기업들이 먼저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8 · 15 경축사를 통해 '공정한 사회 구현'을 제시하면서 승자 독식은 없어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脈絡)에서일 것이다.

중요한 것은 상생경영이 일관되고 지속적인 흐름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대기업 못지않게 중소기업들이 스스로 체질을 강화함으로써 성장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경쟁력과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점이다. 중소기업들의 그런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결국 대기업들의 상생경영은 일과성에 그치고 대 · 중소기업 간 양극화 구조를 바꾸기 어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