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美경제 '2차 위기' 발생하면 한국 증시는…

최근 미국 경제의 '더블 딥'(경기회복 후 재침체) 우려와 함께 다우지수가 일시적으로 10,000선이 붕괴되자 그동안 간헐적으로 거론됐던 2차 위기가 가시화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차 위기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렸던 1차 위기에 이어 최근 고개를 들고 있는 일련의 위기 조짐을 말한다. 2차 위기는 '유동성 위기→시스템 위기→실물경기 회복' 순으로 진행되는 '위기 극복 3단계'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거나 위기 극복이 빠르더라도 어느 순간에 정체될 때 나타난다. '3년 주기설'이 대표적이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 2차 위기가 닥칠 경우 그 파장이 어떤 형태이며 얼마나 클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미국 금융회사들의 현금흐름,거래형태,글로벌 투자비중,감독 정도 등을 1차 위기 때와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론적으로 보유현금이 적을수록,레버리지 비율과 글로벌 투자비중이 높을수록,감독이 소홀할수록 위기 강도와 역외 국가에 미치는 파장이 크게 나타난다.

한국 등 역외국가에 미치는 파장을 알아보려면,투자주체인 금융사들이 위기로 마진 콜(증거금 부족현상)을 당하면 이에 응하기 위한 디레버리지(자금회수) 대상으로 어느 국가를 선택하는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금융사들이 마진 콜을 당할 때 자금지원이 없으면 보유자산을 처분해 응해야 한다. 전제는 보유자산을 적게 처분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때 시장 상황을 보자.모기지 사태 직후 1차 위기 때 미국은 보유자산을 팔려는 사람이 많고 사려는 사람은 적기 때문에 대규모 초과공급이 발생했다. 이 시장에 금융사들이 마진 콜에 응하기 위해 보유자산을 처분하면 그 과정에서 가격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당초 계획보다 더 팔아야 가능하다. 반대로 한국,중국처럼 경제여건이 좋은 국가들은 팔려는 사람이 적고 사려는 사람이 많아 초과수요가 발생하거나 최소한 위기가 발생한 국가보다 수급사정이 좋다. 이 때문에 마진 콜을 당한 금융사들이 이들 국가를 디레버리지 대상으로 선택하게 돼 외국자금의 갑작스런 유출로 주가가 급락하고 환율은 급등하게 된다.

특히 1차 위기의 주역인 미국 투자은행들은 고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레버리지 비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투자가 선진국보다 이머징 마켓에 집중됐다. 또 고도의 파생기법을 동원하기 때문에 금융감독기관도 쫓아가지 못했다. 이 때문에 1차 위기 때는 그 강도가 컸고 파장도 미국보다 역외국가에 집중되는 '나비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미국경제가 '더블 딥'에 빠져 2차 위기가 온다 하더라도 지난 3년간 고위험자산과 복잡한 파생상품에 대한 규제가 이뤄지면서 금융사들의 레버리지 비율과 글로벌 투자비중이 낮아졌다. 금융사들의 일거수일투족이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감독 아래에 있다. 앞으로 2차 위기가 발생하면 그 강도는 1차 위기 때보다 작고 파장도 역외국가보다 미국 내로 수렴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미국경제 더블 딥과 2차 위기 가능성이 제기된 후 미 증시가 한국 등 역외국가 증시보다 더 흔들리고 곧바로 미국경제의 '잃어버린 10년'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현 시점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더블 딥 우려로 어떤 정책을 추진한다 하더라도 미국 국민들이 반응하지 않는 '좀비 국면'으로 변할 가능성이다.

경제주체들이 살아 있어도 죽은 시체와 같은 좀비 국면에 놓이면 경기회복과 시스템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어떤 정책도 의도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하게 된다. 정책당국은 '정책함정' '유동성 함정' '구조조정 함정'에 놓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경제주체들은 미래를 더 불투명하게 느끼는 '불확실성 함정'에 빠지면서 빚만 늘어나는 또 다른 '빚의 함정'에 빠지는 이른바 '5대 함정'에 놓이게 된다.

한 나라 경제가 이 같은 최악의 상황에 닥치면 마지막으로 기댈 곳은 그 나라 국민들의 '긍정의 힘'이다. 최근 더블 딥 우려가 제기되자 곧바로 2차 부양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위기 극복에 동참할 것을 호소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상황에 닥쳐서도 미국 국민들이 계속해서 좀비 국면에 머문다면 미국경제도 일본처럼 잃어버린 10년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미국 국민들이 위기 때일수록 발휘되는 혁신 DNA로 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한다면 '긍정의 힘'은 의외로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미국 경제는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긍정의 힘'은 미국 국민들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경제 '더블 딥' 우려와 함께 곧바로 1차 위기 때보다 가능성이 낮은 '국내증시 붕괴론'을 거론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우리 경제와 투자자를 가장 어렵게 한다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