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동의 월요전망대] 유럽불안 여전…기준금리 동결될 듯
입력
수정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불거진 지정학적 리스크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고 장기화하고 일상화할 조짐이다. 그간 큰 폭으로 상승했던 환율은 하락(원화가치는 상승)하고 코스피지수는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국내 금융시장은 정상을 되찾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북한 악재가 사그라드는 모습이다. 다만 북한은 언제든 다시 도발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주문이다.
시장의 관심은 세 가지 변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의 확산 여부,미국의 경제회복 속도와 추가 양적완화 여부,중국의 추가 긴축 시기와 강도 등이다. 유럽에선 아일랜드 구제금융이 확정됐지만 스페인으로 불똥이 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스페인에 대한 구제금융 뜻을 밝혔으며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총재는 유로안정기금(EFSF)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선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밝힌 국채 추가 매입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고용 사정 등이 좋지 않다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유동성 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중국으로선 지급준비율과 정책금리 인상 등 추가 긴축안이 조만간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한국은행이 오는 9일 개최하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선 연 2.5%인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만큼 이번 달엔 쉬어갈 것이란 얘기다. 한은은 이제껏 금리를 올릴 때는 징검다리 방식을 택해 왔다. 더군다나 연말에 자금수요가 많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0월 4.1%에서 11월 3.3%로 다소 낮아졌기 때문에 기존의 관행을 깨고 연달아 인상을 택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과 유럽의 양적완화(중앙은행이 경기부양 또는 금융안정을 위해 돈을 푸는 것)에 따라 국내에선 추가 외국자본 규제방안 마련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강만수 대통령 경제특별보좌관도 "자본유출입 규제안은 예정대로 간다"고 말했다. 현재 거론되는 방안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에 대한 선물환포지션한도를 더 낮추고 단기 외화차입에 부담금을 매기는 것이다. 다만 국회에서 내년 예산안 및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등을 둘러싸고 여야가 치열하게 맞서 외국인 채권 과세에 대한 논의마저 불투명한 만큼 추가 외국자본 규제가 이번 주에 발표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내년 경제 전망에 대한 논란도 이번 주부터 본격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5% 수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민간 경제연구소들은 4% 안팎을 내놓았다. 한은은 이제까지 4.5%를 전망했었는데 10일 어떤 수치를 내놓을지 관심이다. 만약 4.5%보다 낮춘다면 내년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기획재정부가 7일 발표하는 '서민물가 안정방안'에는 농수산물 수급안정책이 핵심이며 국내외 가격차 발표를 통해 일부 품목의 가격인하를 유도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는 같은 날 공공부문 동반성장 추진대책도 내놓는다.
박준동 경제부 차장 jdpower@hankyung.com
시장의 관심은 세 가지 변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의 확산 여부,미국의 경제회복 속도와 추가 양적완화 여부,중국의 추가 긴축 시기와 강도 등이다. 유럽에선 아일랜드 구제금융이 확정됐지만 스페인으로 불똥이 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스페인에 대한 구제금융 뜻을 밝혔으며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총재는 유로안정기금(EFSF)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선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밝힌 국채 추가 매입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고용 사정 등이 좋지 않다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유동성 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중국으로선 지급준비율과 정책금리 인상 등 추가 긴축안이 조만간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한국은행이 오는 9일 개최하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선 연 2.5%인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만큼 이번 달엔 쉬어갈 것이란 얘기다. 한은은 이제껏 금리를 올릴 때는 징검다리 방식을 택해 왔다. 더군다나 연말에 자금수요가 많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0월 4.1%에서 11월 3.3%로 다소 낮아졌기 때문에 기존의 관행을 깨고 연달아 인상을 택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과 유럽의 양적완화(중앙은행이 경기부양 또는 금융안정을 위해 돈을 푸는 것)에 따라 국내에선 추가 외국자본 규제방안 마련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강만수 대통령 경제특별보좌관도 "자본유출입 규제안은 예정대로 간다"고 말했다. 현재 거론되는 방안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에 대한 선물환포지션한도를 더 낮추고 단기 외화차입에 부담금을 매기는 것이다. 다만 국회에서 내년 예산안 및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등을 둘러싸고 여야가 치열하게 맞서 외국인 채권 과세에 대한 논의마저 불투명한 만큼 추가 외국자본 규제가 이번 주에 발표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내년 경제 전망에 대한 논란도 이번 주부터 본격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5% 수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민간 경제연구소들은 4% 안팎을 내놓았다. 한은은 이제까지 4.5%를 전망했었는데 10일 어떤 수치를 내놓을지 관심이다. 만약 4.5%보다 낮춘다면 내년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기획재정부가 7일 발표하는 '서민물가 안정방안'에는 농수산물 수급안정책이 핵심이며 국내외 가격차 발표를 통해 일부 품목의 가격인하를 유도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는 같은 날 공공부문 동반성장 추진대책도 내놓는다.
박준동 경제부 차장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