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국의 대학등록금 인상 파문 무얼 뜻하나
입력
수정
영국이 연일 이어지는 대학생 시위로 소란하다. 2만여명에 이르는 대학생들이 런던 도심에서 밤새 시위를 벌이는가 하면 찰스 왕세자 부부가 탄 승용차가 페인트 투척 세례를 받기도 했다. 특히 이 같은 격렬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의회(하원)가 2012년 9월 새학기부터 적용되는 등록금 3배 인상안을 통과시켜 혼란은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영국 의회의 결정은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12%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대학지원금을 감당하기 힘들어진 탓이다. 정부 지원금은 40%나 깎였고 등록금 상한선은 연 3290파운드(약 590만원)에서 9000파운드(약 1620만원)로 껑충 뛰었다. 현재 영국의 대학들이 재원의 29%를 등록금에, 35%를 정부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원금 감소에 따른 등록금 인상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인 셈이다. 대학생들의 반발 또한 충분히 납득할 만하다. 대출로 등록금을 조달할 경우 1인당 3만파운드(약 5400만원)의 빚을 지게 되고, 법에 따라 매년 소득의 9%를 의무상환해도 졸업 후 30년 동안이나 갚아야 한다는 것이다. 평생 빚의 늪에서 시달려야 한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 연립정권의 기반이 흔들리는 등 이 문제는 정치권에까지 큰 파장을 낳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재정적자와 과도한 복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영국만이 아니다. 국가부도 위기에 직면했던 그리스를 비롯 아일랜드 스페인 포르투갈 등 많은 유럽 국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 연금개혁 문제 때문에 총파업사태까지 일어났던 프랑스 또한 따지고 보면 본질은 별로 다를 게 없다.
영국 등 유럽국들의 사태가 시사하는 바는 너무도 분명하다. 복지 확대 정책도 좋지만 국가 재정에서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설 경우 언젠가는 큰 충격과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한눈에 드러내준다. 그런 점에서 서로 경쟁하듯 복지 포퓰리즘 정책을 약속하고 있는 우리 정치권도 유럽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정책 운용 전반을 재점검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영국 의회의 결정은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12%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대학지원금을 감당하기 힘들어진 탓이다. 정부 지원금은 40%나 깎였고 등록금 상한선은 연 3290파운드(약 590만원)에서 9000파운드(약 1620만원)로 껑충 뛰었다. 현재 영국의 대학들이 재원의 29%를 등록금에, 35%를 정부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원금 감소에 따른 등록금 인상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인 셈이다. 대학생들의 반발 또한 충분히 납득할 만하다. 대출로 등록금을 조달할 경우 1인당 3만파운드(약 5400만원)의 빚을 지게 되고, 법에 따라 매년 소득의 9%를 의무상환해도 졸업 후 30년 동안이나 갚아야 한다는 것이다. 평생 빚의 늪에서 시달려야 한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 연립정권의 기반이 흔들리는 등 이 문제는 정치권에까지 큰 파장을 낳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재정적자와 과도한 복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영국만이 아니다. 국가부도 위기에 직면했던 그리스를 비롯 아일랜드 스페인 포르투갈 등 많은 유럽 국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 연금개혁 문제 때문에 총파업사태까지 일어났던 프랑스 또한 따지고 보면 본질은 별로 다를 게 없다.
영국 등 유럽국들의 사태가 시사하는 바는 너무도 분명하다. 복지 확대 정책도 좋지만 국가 재정에서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설 경우 언젠가는 큰 충격과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한눈에 드러내준다. 그런 점에서 서로 경쟁하듯 복지 포퓰리즘 정책을 약속하고 있는 우리 정치권도 유럽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정책 운용 전반을 재점검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