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루터에게 길을 묻다] (上) "면죄부 장사 치워라…" 격문 붙었던 성곽교회 年 20만명 몰려

● (上) 종교개혁 500년 현장 가보니

'오직 믿음' 실천한 루터정신, 獨 비텐베르크 곳곳에 오롯이
교권 다투는 우리교회 '반면교사'
"1524년부터 개신교회로 유지되고 있는 이곳은 종교개혁의 정신적 문화재입니다. 신앙과 믿음의 개혁이 시작된 곳이죠."

독일 동북부 작센안할트주의 소도시 비텐베르크 성곽교회.지난 5일 10여명의 순례자들에게 교회 곳곳을 보여주며 설명하던 베른하르트 그룰(75)은 이렇게 말했다. 2000년까지 이 교회 안내원으로 일하다 은퇴한 그는 "내가 은퇴할 때까지만 해도 매년 2000여명이 이곳을 찾았는데 요즘에는 1년에 20만명 이상 온다"고 덧붙였다. ◆종교개혁의 발원지, 비텐베르크

인구 2만여명의 작은 도시 비텐베르크에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것은 이곳이 오늘날의 개신교회를 탄생시킨 종교개혁의 발원지이기 때문이다. '루터의 도시(Lutherstadt)'라는 수식어가 공식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텐베르크는 중세 유럽의 종교개혁을 이끈 마르틴 루터(1483~1546)의 활동 무대였다. 사제이자 신학자였던 그는 이곳에서 교황 레오10세의 면죄부 판매에 항의하며 개혁을 주창했고,교황에 의해 파문당했으며,이곳에 묻혔다.

종교개혁 500주년(2017년)을 앞두고 용인 새에덴교회 순례단과 함께 종교개혁의 현장을 찾았다. 교회와 교황의 세속화를 비판했던 14세기 얀 후스의 활동 무대인 체코 프라하를 시작으로 루터의 활동 현장인 독일,츠빙글리와 캘빈이 활동했던 스위스를 차례로 순례했다. 루터가 이곳 비텐베르크에서 종교개혁의 기치를 올린 것은 34세 때인 1517년 10월31일.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조목조목 지적하는 이른바 '95개조의 명제'를 성곽교회 정문에 붙인 것이다.

"우리들의 주(主)요,선생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고 말씀하심으로써 신자의 모든 삶이 참회이기를 원하셨다. 참된 참회가 이뤄졌다고 느끼는 모든 그리스도인은 예외 없이 면죄부가 없어도 그에게 부여되는 형벌과 죄책으로부터 완전한 용서를 받는다. "

11세기 말부터 등장한 면죄부는 르네상스 시대에 극에 달했다. 교황 레오10세는 화려한 베드로대성당을 짓기 위해 1506년 일괄 면죄부를 발행하며 세일에 나섰다. 격문의 효과는 엄청났다. 마인츠 교구의 알브레히트 대주교가 루터 때문에 면죄부가 안 팔린다며 교황에게 처분을 요청했을 정도였다. 루터의 책과 언행에 대한 조사가 시작됐고 마침내 루터는 수차례의 신학논쟁을 거쳐 1520년 파문됐다.

교황의 착취에 대한 독일 민족의 반감과 이에 따른 신성로마제국 제후국들의 동조 등으로 개혁교회는 확산됐다. 그 사이 루터는 작센공국 왕 프리드리히의 비호 아래 바르트부르크의 성에서 기사복을 입고 숨어 지내며 교황과 사제들이 독점했던 라틴어 성경을 쉬운 독일어로 번역했다. 한때 수녀였던 카타리나 폰 보라와 결혼해 독신사제의 틀에서 벗어났다. 그는 맨스필드 백작들의 법적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고향인 아이슬레벤에 갔다가 거기서 운명했다.

◆루터의 95개조 명제가 새겨진 철문루터가 '95개조 명제'를 붙였던 비텐베르크 성곽교회 정문은 화재로 소실돼 1857년 작센의 프리드리히왕이 철문으로 새로 세웠다. 철문에는 '95개조 명제'가 촘촘하게 새겨져 있고,문 위에는 성경을 든 루터와 그의 제자이자 '독일의 선생'으로 존경받았던 멜랑히톤이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를 든 채 무릎을 꿇고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면죄부 판매를 비판했던 설교대 바로 아래에 그의 무덤이 있고,맞은편에는 제자이자 절대적 조력자였던 멜랑히톤이 묻혀 있다.

비텐베르크는 그야말로 루터의 도시다. 시청 광장에는 루터와 멜랑히톤의 동상이 서 있고,루터가 파문장을 불태우며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선포했던 자리엔 '루터의 참나무'가 우뚝하다. 참나무 옆 길은 '루터의 거리'다. 참나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멜랑히톤의 집과 비텐베르크대 건물,루터가 살았던 '루터하우스' 등 가는 곳마다 루터를 만나게 된다.

비텐베르크뿐만 아니다. 아인슬레벤에는 루터의 생가와 마지막으로 설교했던 성안드레아교회 등이 남아 있다. 마른 빵에 맥주 한 잔으로 아침저녁을 때우며 고행수도했던 아우구스티누스수도원도 그의 숨결을 전해준다. 파문 후 숨어지내며 성경을 번역했던 아이제나흐의 바르트부르크성에도 루터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한국 개신교의 원류는 루터 개혁정신

루터는 어린 시절부터 죄의 문제로 고민했던 소심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로마서 1장 17절의 '하나님의 의'를 새롭게 해석해 무서운 심판자가 아니라 자비로운 하나님을 발견한 후 그는 당당해졌고 '오직 성경,오직 믿음'을 신조로 공의(公義)를 실천하는 데 앞장섰다.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시대를 통찰했고,성경과 믿음을 기준으로 결단하고 실행했다. 이를 위해 철저히 자기를 비웠다.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 결과 루터의 종교개혁은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탄생시켰다. 지금 한국의 개신교회도 거슬러 올라가면 루터에서 시작됐다. 교권 다툼과 금권선거,양적 성장만 추구하는 물량주의와 대형화 등 숱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한국 개신교회는 과연 루터의 개혁정신을 얼마나 잘 따르고 있을까.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루터에게 길을 물어볼 일이다.

비텐베르크(독일)=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