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지진 1주] 119구조대, 중단없는 생존자 수색

미야기현 다가조..재일교포 60여가구 사상자 없는 듯

17일 오전 9시께 일본 미야기(宮城)현 다가조(多賀城)시 해변 근처 119구조대의 구조 현장.
기온이 영하 4도까지 내려간데다 강풍에 눈까지 겹쳐 한겨울을 생각나게 하는 극심한 추위가 구조대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었다.이 곳의 강추위는 임시로 설치해놓은 텐트 안의 페트병 물이 밤새 얼어버린 사실만 봐도 짐작할 수 있다.

텐트가 무너지거나 날아가겠다 싶을 정도의 강한 바람도 대원들을 괴롭힌다.

이날 강추위 속에 구조대들이 맡은 임무는 화재가 난 정유 공장의 인명 구조다.쓰나미 직후부터 피어오른 연기가 그치지 않은 다가조시 바닷가 정유공장에서는 오전 한 때 불길이 치솟았다.

구조대는 마구 뒤엉켜 있는 건물 잔해와 차량, 쓰레기 더미를 헤치며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생존자 수색 작업을 펼쳤다.

추위와 위험 속에 사투를 벌인 결과 남성 2명의 시신을 수습할 수 있었다.국적이 일본인지, 한국인지는 몰라도 두 시신을 가족에게 인도할 수 있게 됐다는 성취감은 구조대원들이 계속 강추위에 맞설 수 있게 하는 힘이다.

연합뉴스가 119 구조대를 따라 전날에 이어 이틀째 찾아간 다가조시는 강진과 쓰나미 피해로 처참한 모습이었다.

다가조시는 바닷가에 가까운 쪽부터 공업단지, 상업지구, 주택지구 순으로 이어진다.해안에서 3∼4km 반경 안의 공업단지와 상업지구가 쓰나미 피해를 집중적으로 당한 지역이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수의 차량이 종잇장처럼 짓이겨진 채 곳곳에서 나뒹굴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등을 생산하는 소니 공장을 비롯해 각종 공장에서 나온 제품과 건물 잔해가 어지럽게 뒤섞인 채 널브러져 있는 등 공업단지와 상업지구는 여전히 망가진 상태로 남아있었다.

주택지구는 직접 쓰나미 피해를 보지는 않았지만, 전기ㆍ통신 등 사회기반 시설이 파괴되면서 주민들이 불편한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기자가 현장에서 만난 주민들은 특히 "도시의 어디를 가도 기름이 부족한 게 큰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기름 부족으로 관용차나 피해 복구 차량을 제외하고는 도로에 승용차가 거의 다니지 않아 거리는 '유령 도시'를 방불케 했다.

간혹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서 어디론가 향하는 주민이 눈에 띌 정도다.

대부분 식료품, 식수, 유류를 구하려고 발걸음을 바쁘게 옮기는 이들이었다.

시내 중심부의 대형 슈퍼마켓에는 주민들이 입구부터 수백m 길이로 줄을 지어 서서 추위에 옷깃을 여미고 있었다.

"슈퍼마켓이 3∼4시간만 문을 여는데다 판매 품목도 제한돼 있어 식료품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처럼 어렵다"는 게 한 주민의 입에서 나온 하소연이다.

기름은 1인당 10ℓ로 판매량이 제한돼 있는 데다가 문을 연 주유소도 거의 없어 기름을 사기 위한 행렬은 1km를 훌쩍 넘어섰다.

다가조시 상하수도부 건물 앞에는 식수를 얻으려고 어린이와 노인들까지 거리로 나와 길게 늘어섰다.

족히 수백m는 돼 보이는 긴 행렬이다.

이들은 일반 식수용 탱크 뿐 아니라 보온병, 500㎖짜리 페트병 등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물건이라면 뭐든지 들고나온 듯 했다.

당국은 다가조시 수영장 등에 대피소를 마련했지만 이재민들을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시설이 충분치 않아 일반 주민이 운영하는 사설 피난소가 등장하기도 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다가조시에 사는 60여 가구의 재일동포 중 사상자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는 점이다.거리에서 만난 재일동포 2세 박상지(53)씨는 "동포들 중에 사상자가 나오지 않은 것은 동포들의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지진과 쓰나미가 밀려올 당시 주택가에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가조<미야기현>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