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ㆍGH코리아 신년 여론조사] 2040·화이트칼라 '安에 쏠리고'… 50대이상·블루칼라 '朴에 끌리고'

대선주자 지지도

양자 대결땐
安, 영남빼고 전지역서 앞서

다자 대결땐
朴, 영남·대전·충청서 우위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지지층은 세대와 직업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확인된 ‘2040’세대와 50대 이상 장년층 간 세대 대결이 차기 대권 후보 지지율에서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장외에 머물고 있는 안 원장의 파괴력은 여전히 위력적이었다.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설 경우 안 원장은 48.3%의 지지율로 35.7%에 그친 박 위원장을 12.6%포인트 앞섰다. 다만 다자 대결에서는 박 위원장(31.3%)이 안 원장(30.3%)을 오차 범위 내에서 앞섰다. 이어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6.2%), 김문수 경기지사(3.5%),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3.2%),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2.8%),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2.5%) 등이 뒤를 이었다. 양자·다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대와 소득, 학력, 지역에 따라 지지 후보가 확연히 나뉜다는 점이다. 1 대 1 대결에서 안 원장은 서울(53.7%)을 비롯 인천·경기(47.7%) 대전·충청(47.1%) 광주·전라(74.6%) 등에서 큰 폭으로 박 위원장을 앞섰다. 박 위원장은 한나라당의 텃밭인 대구·경북(64.2%) 부산·울산·경남(43.3%) 등 영남지역에서만 안 원장에 우위를 보였다.

‘2040’세대의 안 원장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 반면 50대 이상 장년층은 박 위원장의 핵심 지지층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에서 안 원장은 68.7%의 지지율로 14.8%에 그친 박 위원장을 4배 이상 앞섰다. 30대(55.6%) 40대(54.6%)에서도 큰 폭의 우위를 보였다.

박 위원장은 50대에서 50.1%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60대 이상 층에서는 54.2%로 20.7%에 그친 안 원장을 크게 앞섰다. 소득과 직업군에서 박 위원장은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중졸 이하, 주부, 블루칼라 층의 지지가 두터웠다.

안 원장은 대학 재학 이상, 화이트칼라 중심으로 지지율이 높았다. 한나라당 지지자의 82.4%가 박 위원장을, 민주통합당 지지자의 83.6%가 안 원장 지지 의사를 밝혔다. 안 원장은 양자 대결 시 자유선진당 통합진보당 진보신당 지지층에 대한 흡수력에서도 박 위원장에 우위를 보였다.

이 같은 세대·직업·소득별 지지율 양극화 현상은 다자 간 대결에서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양자 대결과 달리 다자 구도에서는 박 위원장(35.6%)이 대전·충청 지지율에서 안 원장(28.2%)을 앞서는 역전현상이 벌어졌다. 김명준 GH코리아 이사는 “비대위원장을 맡아 한나라당 전면에 나선 박 위원장의 쇄신에 대한 구체성이 아직 국민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어 기존 이미지를 바꾸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지지층은 세대와 직업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확인된 ‘2040’세대와 50대 이상 장년층 간 세대 대결이 차기 대권 후보 지지율에서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장외에 머물고 있는 안 원장의 파괴력은 여전히 위력적이었다.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설 경우 안 원장은 48.3%의 지지율로 35.7%에 그친 박 위원장을 12.6%포인트 앞섰다. 다만 다자 대결에서는 박 위원장(31.3%)이 안 원장(30.3%)을 오차 범위 내에서 앞섰다. 이어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6.2%), 김문수 경기지사(3.5%),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3.2%),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2.8%),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2.5%) 등이 뒤를 이었다. 양자·다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대와 소득, 학력, 지역에 따라 지지 후보가 확연히 나뉜다는 점이다. 1 대 1 대결에서 안 원장은 서울(53.7%)을 비롯 인천·경기(47.7%) 대전·충청(47.1%) 광주·전라(74.6%) 등에서 큰 폭으로 박 위원장을 앞섰다. 박 위원장은 한나라당의 텃밭인 대구·경북(64.2%) 부산·울산·경남(43.3%) 등 영남지역에서만 안 원장에 우위를 보였다.

‘2040’세대의 안 원장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 반면 50대 이상 장년층은 박 위원장의 핵심 지지층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에서 안 원장은 68.7%의 지지율로 14.8%에 그친 박 위원장을 4배 이상 앞섰다. 30대(55.6%) 40대(54.6%)에서도 큰 폭의 우위를 보였다.

박 위원장은 50대에서 50.1%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60대 이상 층에서는 54.2%로 20.7%에 그친 안 원장을 크게 앞섰다.

소득과 직업군에서 박 위원장은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중졸 이하, 주부, 블루칼라 층의 지지가 두터웠다.

안 원장은 대학 재학 이상, 화이트칼라 중심으로 지지율이 높았다. 한나라당 지지자의 82.4%가 박 위원장을, 민주통합당 지지자의 83.6%가 안 원장 지지 의사를 밝혔다. 안 원장은 양자 대결 시 자유선진당 통합진보당 진보신당 지지층에 대한 흡수력에서도 박 위원장에 우위를 보였다.

이 같은 세대·직업·소득별 지지율 양극화 현상은 다자 간 대결에서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양자 대결과 달리 다자 구도에서는 박 위원장(35.6%)이 대전·충청 지지율에서 안 원장(28.2%)을 앞서는 역전현상이 벌어졌다.

김명준 GH코리아 이사는 “비대위원장을 맡아 한나라당 전면에 나선 박 위원장의 쇄신에 대한 구체성이 아직 국민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어 기존 이미지를 바꾸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BBK 실소유 이명박"
발언한 박근혜 결국

박원순 때문에 망했다
울부짖는 업자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