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 잦은 직장인, 허리디스크 발병비율 높아
입력
수정
사무직 직장인의 경우 누구나 한번쯤 허리통증을 경험해봤을 것이다. 특히 지속적인 야근으로 인해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허리에 뻐근한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대다수는 허리통증을 무시하고 넘기게 된다. 나만 느끼는 통증이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가벼운 통증이라 할지라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점점 심해진다면 병원을 방문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대인의 질병, 허리디스크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허리디스크는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제자리에서 탈출해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종전에는 중장년층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생활습관 변화와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20~30대도 많이 걸리는 질환이다. 허리디스크가 발병하면 공통적으로 허리통증과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방사통이 느껴진다. 초기에는 어느정도 참을 만한 정도로 통증이 발생하지만 질환이 진행되면서 통증으로 인해 앉아있거나 걷는 것이 어려워진다. 때에 따라서는 마비나 신경장애와 같은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되도록이면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신정호 희명병원 진료과장은 “허리디스크의 경우 대다수 환자들이 꽤 오래 전부터 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 증상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 전까지는 병원을 찾지 않는다”면서 “초기에 치료를 할 경우 물리치료나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과 달리 뒤늦게 찾아오면 보존적 치료로는 증상 완화가 어렵다. 허리디스크가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신 과장은 이어 “뒤늦게 치료를 하게 되면 신경성형술과 같은 수술적 효과를 가진 비수술적 치료가 많이 권해지는데 신경성형술이란 얇은 관을 꼬리뼈 구멍을 통해 삽입하고 환부에 위치시킨 후 염증 부위에 약물을 주입해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이라면서 “시술이 간단하면서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여유가 부족한 직장인에게 효과적인 시술”이라고 설명했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꼭 수술적인 치료법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치료방법이 아니라 치료 후 관리다. 치료를 통해서 증상이 완화됐다고 해도 질환이 완치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재발을 방지하는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허리디스크는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제자리에서 탈출해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종전에는 중장년층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생활습관 변화와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20~30대도 많이 걸리는 질환이다. 허리디스크가 발병하면 공통적으로 허리통증과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방사통이 느껴진다. 초기에는 어느정도 참을 만한 정도로 통증이 발생하지만 질환이 진행되면서 통증으로 인해 앉아있거나 걷는 것이 어려워진다. 때에 따라서는 마비나 신경장애와 같은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되도록이면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신정호 희명병원 진료과장은 “허리디스크의 경우 대다수 환자들이 꽤 오래 전부터 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 증상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 전까지는 병원을 찾지 않는다”면서 “초기에 치료를 할 경우 물리치료나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과 달리 뒤늦게 찾아오면 보존적 치료로는 증상 완화가 어렵다. 허리디스크가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신 과장은 이어 “뒤늦게 치료를 하게 되면 신경성형술과 같은 수술적 효과를 가진 비수술적 치료가 많이 권해지는데 신경성형술이란 얇은 관을 꼬리뼈 구멍을 통해 삽입하고 환부에 위치시킨 후 염증 부위에 약물을 주입해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이라면서 “시술이 간단하면서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여유가 부족한 직장인에게 효과적인 시술”이라고 설명했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꼭 수술적인 치료법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치료방법이 아니라 치료 후 관리다. 치료를 통해서 증상이 완화됐다고 해도 질환이 완치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재발을 방지하는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