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싼 심야전력 저장, 비싸게 팔수 있다
입력
수정
지면A6
'전력대란' 한숨 돌린 정부, ICT 활용 수급방식 바꿔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있는 삼성SDI 기흥사업장(본사). 본건물 왼쪽에 자리잡은 화려한 색상의 건물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자동차용 배터리와 동일한 리튬이온 2차전지를 대형화한 1㎿급 에너지 저장장치(ESS)와 이를 연결한 에너지 관리시스템(EMS)이 설치돼 있는 곳이다.
에너지저장장치 구축 3~5% 세액공제
10월께 피크시간대 전기료 인상 추진
박상진 사장은 “이들 설비를 활용해 0시부터 오전 6시 사이에 충전해 놓은 싼 전기를 피크시간대인 낮 12시~오후 6시에 방전해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피크시간대 전력 사용량을 종전 6530㎾에서 5530㎾로 1000㎾ 줄이고, 연간 전기요금도 1억2700만원이나 아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ICT 기반 전력수요 관리로 전환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과 공공기관 등이 삼성SDI처럼 ESS·EMS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지금처럼 정부가 강요하는 강제 절전이 아니라 민간의 자발적 투자와 절전으로 전력 수급난을 해소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다. 전통적인 전력산업에 2차 전지 산업, IT 소프트웨어를 융합하는 게 그 요체다.
이 때문에 이번에 내놓은 방안은 ESS와 EMS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 한국은 삼성SDI, LG화학 등 ESS의 기반이 되는 2차전지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는 기업을 보유하고 있지만 일본과 달리 ESS와 EMS를 활성화하지 못했다. 초기 투자비용 부담이 큰 데다 전기요금이 낮아 기업의 관심이 적었기 때문이다. 지난 3월 ESS·EMS 구축에 총 16억원을 들인 삼성SDI도 전기요금을 연간 1억원 이상 줄일 수 있지만 투자비를 회수하는 데 12~1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투자비 회수 기간이 최소 6~7년으로 단축돼야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세제 혜택과 설치비용도 지원
정부는 이에 따라 앞으로 기업들이 고효율 인증을 받은 ESS에 투자할 경우 투자금액의 3~5%를 세액공제해주기로 했다. 또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이 EMS를 설치하면 설치비의 최대 50%를 지원할 방침이다. 김준동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세제와 자금 지원에 따른 예산을 별도로 확보하기로 기획재정부와 합의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오는 10월께 전기요금 체계를 개편, 선택형 시간대별 차등요금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심야시간대와 최대 피크시간대 요금이 3배가량 차이나는 것을 더 확대하겠다는 게 산업부의 계획이다. 여름철과 겨울철 피크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높은 요금을 물리고 나머지 시간대는 요금을 할인해 차등률을 확대하는 선택형 요금제다.
전력거래 규제도 없애기로 했다. 우선 ESS·EMS를 통해 절전하고 남은 전기를 시장(전력거래소)에 되팔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심야에 한국전력에서 값 싸게 구입한 전기를 피크시간대에 쓰고 남으면 재판매토록 해 기업이 적정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길을 열어주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루 전력 수요가 5000만㎾일 경우 지금은 한전이 전량을 발전사로부터 구매하지만 앞으로는 4500만㎾만 발전사에서 받고 나머지 500만㎾는 ESS와 EMS로 얻은 수요 감축량을 구매한다는 얘기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