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용인 이어 판교에 연구소 설립했지만…솔브레인 "고급 R&D인력 어디없소?"
입력
수정
지면A16
정지완 회장의 '인재 갈증'관련 소재를 만드는 중견기업 솔브레인은 연구소만 세 개를 갖고 있다. 회사 설립 초기인 1995년에 만든 충남 공주연구소와 2008년 지은 경기 용인연구소, 작년에 세운 판교연구소다.
"선행기술 확보 중요한데…" 한해 영업익 1000억 넘어도 우수 인력 안와 고민
솔브레인이 제2, 제3 연구소를 만든 것은 ‘좋은 인재’를 뽑기 위해서다. 서울에서 조금이라도 가까운 곳에 있으면 유능한 인재를 좀 더 뽑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다. 하지만 이 회사는 여전히 ‘좋은 인재’를 뽑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직도 사람이 부족하다”
솔브레인은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제조에 쓰이는 화학물질을 만드는 회사다. 이 회사는 작년 9월 경기 판교에 지상 9층, 지하 2층 규모의 연구소를 완공했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신소재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열린 한 취업박람회에서 만난 정지완 솔브레인 회장은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판교연구소를 작년에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소재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선행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300여명이 근무할 수 있는 이곳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연구원은 80여명에 불과하다. 정 회장은 “아직도 사람이 부족하다”며 “시기나 인원 수에 관계없이 최대한 많이 R&D 전문인력을 뽑으려 하고 있는데 잘 안된다”고 말했다. 화학공학, 재료공학, 고분자, 신소재 등을 전공한 석·박사급 인재를 구하기 위해 채용박람회, 직원들의 내부 추천 등을 가리지 않고 사람을 구하고 있지만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중견기업의 한계’를 요즘 절감하고 있다.
◆실적 좋지만 “미래 고민”
솔브레인의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대기업이다. 지난해 매출 6636억원에 영업이익 1070억원을 남긴 우량 중견기업이다. 올해도 영업이익이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도 사상 최고치를 올해 경신할 정도로 좋다. 하지만 정 회장은 “과거처럼 두 자릿수 성장은 앞으로 쉽지 않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동안은 미국이나 일본 기업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매출을 쉽게 늘릴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는 선도기업이 되지 않으면 매출이 과거처럼 빠르게 늘어나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그는 “좋은 인재를 뽑으려는 것도 기술개발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 임직원 1350명의 14%인 190여명이 R&D를 담당하고 있지만, 이 비율을 더 높여야 한다는 것이 정 회장의 생각이다.
◆“징벌적 징계 완화해야” 정 회장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과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 제정’(화평법)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정말 엄격하게 관리하는 글로벌 기업에서도 화학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며 “징벌적인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해서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매출의 5%를 과징금으로 부과하는 징벌을 한다고 해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그는 “기업들도 인명을 중시하고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며 “사고가 발생한다고 해서 기업의 전체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는 징벌적 조치를 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비판했다.
모든 물질을 등록하라는 화평법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며 “국회에서 이 사안의 중요성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