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세진 교수의 경제학 톡] (66) 비트코인
입력
수정
지면A31
민세진 < 동국대 경제학 교수 sejinmin@dongguk.edu >‘비트코인(bitcoin)’이란 단어가 세계 언론에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눈길을 끌었던 사건 중 하나는 2011년까지 32달러가 최고치였던 비트코인 가격이 2013년 4월에 266달러까지 올랐다는 것이다. 직후 50달러까지 떨어지기는 했으나 세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가격급등이었다.
비트코인은 2009년에 등장한 세계 최초의 ‘분권적’ 가상 화폐다. 분권적이란 비트코인을 만들고 관리하는 중앙기구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돈은 중앙은행(한국은행)이 만들고, 장부상으로 주고받은 돈은 매일 중앙청산소(금융결제원)를 통해 정리·확인된다. 심지어 각기 다른 화폐를 쓰는 국가 간 거래도 국제결제은행(BIS·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이라는 단일 기구를 통해 결제된다. 그런데 비트코인은 서로 대등하게 연결된 컴퓨터망으로 지급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이렇게 대등한 컴퓨터망을 ‘peer-to-peer network’라고 하는데, 복잡한 거래상황을 감독하는 데에 망에 연결된 개인의 컴퓨터가 이용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보상으로 특정 업무에 대해 일정량의 비트코인이 주어지도록 프로그램됐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비트코인이 창출되는 것이다. 우리가 그 자체로는 별 가치가 없는 돈을 안심하고 사용하는 배경에는 정부가 있다. 즉 정부가 만들고 관리하는 돈이므로 정부가 존속하는 한 누구든 내 돈을 받아 주리라고 믿는다. 이런 신뢰 때문에 돈을 벌고 쓸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배경도 없고 그 자체의 가치는커녕 실물도 없는 비트코인을 이미 2만개가 넘는 온라인업체와 1000여개의 오프라인업체에서 받아 주고 있다니 놀라운 일이다. 물론 비트코인이 지급수단으로 인정받는 데에는 본질적으로 화폐 남발에 의한 가치하락의 위험이 없다는 사실이 작용했을 것이다. 비트코인 프로그램 특성상 창출 속도가 점점 감소하여 궁극적으로는 2030년 무렵 총 2100만개 정도에서 멈춘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정치적 혼란기에 일부 국가들에서 정부가 화폐를 마구 찍어내 초인플레이션을 일으킨 것을 생각하면 융통성 없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믿을 만할 수도 있는 것이다.
비트코인 확산에 대한 우려도 없지 않다. 자금세탁, 범죄에의 이용 가능성부터 비트코인으로 받은 소득에 대한 과세나 비트코인 자체의 절도 문제까지 각국 정부가 비트코인 규제에 대해 고민하는 방향은 다양하다. 중국 정부는 2013년 12월 비트코인 사용을 아예 금지해 버렸다. 그러나 잠재적 문제만큼 기존 화폐들에 대한 경쟁상대로서 매력도 크다. 환전할 필요가 없다는 게 단적인 예다. 우리 정부는 어떠한 입장을 갖게 될지 모르겠지만 한국을 포함해서 각국 정부들이 비트코인의 싹을 잘라 버리지는 않기를 바란다.
민세진 < 동국대 경제학 교수 sejinmin@dongguk.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