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기업, 17.5%만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
입력
수정
경총, 354개 기업조사결과 발표정부의 핵심 고용정책 중 하나인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산업 현장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적합한 직무가 부족하고 생산성이 저하 될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선택제 근로자 보호를 위해 도입을 검토 중인 법적 규제에 대해서도 부담스럽다는 의견이 많았다.
시간선택제일자리 동참 기업 17% 뿐…직무 부족, 생산성 저하 우려
전일제 전환 청구권, 전일제 수준의 임금 지급 등 법적 규제도 부담
2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5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일·가정 양립 관련 기업의견 조사’에 따르면 시간선택제를 이미 도입했거나 채용 예정인 기업, 채용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기업은 17.5%에 그쳤다. 반면 채용 계획이 없거나(33.9%) 검토 중이지만 채용가능성이 낮다(29.4%)고 답한 기업은 62.3%였다. 시간선택제에 긍정적인 기업들은 그 이유로 ‘정부 정책에 대한 협조’(16.7%)와 ‘인건비 절감’(15.6%), ‘근로자 경력단절 예방과 일가정 양립 지원’(14.6%) 등을 비슷한 비중으로 꼽았다. 부정적인 기업들의 33.8%는 ‘적합직무 부족’을, 28.5%는 ‘업무연속성 단절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지목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관련해 논의되고 있는 법적 규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기업들은 △전일제 전환 청구권 △전일제 수준의 시간당 임금 지급 △기간 정함 없는 근로계약 △전일제와 동일한 복지 제공 등을 부담스러운 규제로 꼽았다. 특히 대기업은 ‘전일제 전환청구권’(22.0%)을, 중소기업은 ‘전일제 수준의 시간당 임금 지급’(23.5%)을 각각 1순위로 지목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시간선택제 정책 추진에 대해서는 많은 기업들이 ‘자연스러운 정책 추진 과정’(38.3%)이라고 답했으나 ‘유·무형의 압력을 느낀다’(29.3%)거나 ‘강압적이진 않으나 눈치가 보인다’(32.4%)는 응답도 많았다. 김동욱 경총 홍보기획본부장은 “시간선택제 확산을 위해 시간제에 적합한 직무 개발이 시급하다”며 “동시에 생산성 저하 및 법적 규제에 대한 기업의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