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장은 둔화, 고용은 증가? 좋은 일자리는 어디로
입력
수정
지면A43
성장은 둔화되는데 고용은 오히려 늘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은 우리 고용시장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다시 보여준다. 지난 주말 한은의 ‘2013년도 연차보고서’ 내용이 그렇다. 2001~2007년 연평균 4.9%였던 성장률이 2010~2013년 3.9%로 떨어졌으나 연평균 취업자 증가는 32만5000명에서 39만명으로 늘었다는 것이다. 작년 하반기만 봐도 성장은 3분기 1.1%에서 4분기 0.9%로 낮아졌지만 취업자는 각각 42만명, 54만명 늘어났다. 오쿤의 법칙으로 잘 알려진 성장과 실업의 상관관계가 무너진 듯한 이 역설을 어떻게 봐야 할까.
무엇보다 베이비부머들이 영세·저소득 서비스업에 대거 진입하면서 고용지수를 높였다는 통계가 잇따랐다. 서비스업 종사자 중 55~64세가 2005년 205만명에서 2012년 334만7000명으로 불어난 것이 그 증거다. 7년 새 63%나 급증했다. 수명은 늘어나고 자녀는 태반이 백수니 뭐라도 일을 해야 하는 게 다수 장년층의 현실이다.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 확대도 착시의 원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2004~2008년 연평균 8만개였던 노인일자리는 2009~2011년 22만개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이래저래 경기상황과 고용 흐름이 무관하게 나타날 만했다.
경기와 따로 노는 고용증가세가 장기화되기는 어렵다. 잡셰어링 등 다양한 정부 개입은 고용의 질을 떨어뜨려 문제점을 더 확대시킬 가능성도 크다. 장기적으로 성장기반이 악화되고 소득분배 구조도 나빠진다. 50대 이상이 새 일자리로 몰려드는 서비스업종의 생산성 높이기는 당면 과제다. 주로 도소매 운수 음식 숙박업종 등인데, 생산성과 안정성 모두 낮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13.3달러로 미국 일본 독일 평균치의 24%에 그친다. 서비스산업 육성 정책이라지만 저임금 저생산성이라면 곤란하다. 기업들의 활발한 투자에서 비로소 ‘버젓한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투자와 혁신만이 장기적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유일한 정책이다. 이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베이비부머들이 영세·저소득 서비스업에 대거 진입하면서 고용지수를 높였다는 통계가 잇따랐다. 서비스업 종사자 중 55~64세가 2005년 205만명에서 2012년 334만7000명으로 불어난 것이 그 증거다. 7년 새 63%나 급증했다. 수명은 늘어나고 자녀는 태반이 백수니 뭐라도 일을 해야 하는 게 다수 장년층의 현실이다.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 확대도 착시의 원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2004~2008년 연평균 8만개였던 노인일자리는 2009~2011년 22만개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이래저래 경기상황과 고용 흐름이 무관하게 나타날 만했다.
경기와 따로 노는 고용증가세가 장기화되기는 어렵다. 잡셰어링 등 다양한 정부 개입은 고용의 질을 떨어뜨려 문제점을 더 확대시킬 가능성도 크다. 장기적으로 성장기반이 악화되고 소득분배 구조도 나빠진다. 50대 이상이 새 일자리로 몰려드는 서비스업종의 생산성 높이기는 당면 과제다. 주로 도소매 운수 음식 숙박업종 등인데, 생산성과 안정성 모두 낮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13.3달러로 미국 일본 독일 평균치의 24%에 그친다. 서비스산업 육성 정책이라지만 저임금 저생산성이라면 곤란하다. 기업들의 활발한 투자에서 비로소 ‘버젓한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투자와 혁신만이 장기적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유일한 정책이다. 이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