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관세화 '農心향배' 촉각…농민단체도 찬반 엇갈려

정부가 오는 30일께 쌀 관세화 여부에 대한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등 일부 농민단체가 반발 기류를 보이며 집단 행동에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다.

전농은 28일 서울 을지로에서 시청까지 3보1배 행진을 한 뒤 청계광장에서 집회를 열어 쌀시장 전면개방 반대와 정부발표 중단, 국회 사전동의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또 이날부터 30일까지 광화문 열린시민공원에서 노숙농성에 들어가는 데 이어 다음 달 7일 필리핀 쌀협상에 참여한 농민단체 대표 등이 참석하는 쌀 관세화 국제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8월까지 농촌지역을 돌며 농민들에게 반대입장을 설명하는 일정도 잡혀 있다.

박형대 전농 정책위원장은 "국회가 쌀 협상 결과가 나온 뒤 비준동의하는 것은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다"며 "국회와 정부, 농민단체가 참여하는 3자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농) 등은 쌀 관세화가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내비치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준봉 한농연 회장은 "쌀 시장 개방에 찬성하지 않지만 불가피하다고 본다"며 "정부에 쌀시장 보호대책을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광천 한농연 대외협력실장은 "쌀 소비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MMA 물량이 더 늘어나면 감당할 능력이 없다"며 "쌀농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전제로 관세화할 수 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한농연은 전농이 개최하는 집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분위기도 엇갈리고 있다.

연합뉴스가 최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위원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체로 여당은 찬성, 야당은 반대 입장을 보였으나 최규성 의원의 경우 '찬성 소신'을 밝혔다.최 의원은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센터에서 열린 '농촌여름휴가 페스티벌'에서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MMA 물량을 늘리지 않고 현 상황을 유지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거듭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세종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bscharm@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