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마을 운동, 차별화가 성공요인이라는 점도 가르쳐야

안전행정부와 새마을운동중앙회가 주최하는 제1회 지구촌 새마을지도자 대회가 오는 24일까지 경기 성남과 경북 전남 충남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새마을운동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한국의 국가 브랜드화하기 위한 차원으로 추진된다고 한다. 선진국들이 주로 물적 공적개발원조(ODA)에 치중해온 것과 달리 한국의 농촌개발 경험을 체계화해 새마을운동이라는 브랜드로 개도국에 전수한다는 것이다.

ODA는 개도국 개발사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물적 지원에 치우치다 보니 지속적 효과를 내기 어려운 약점이 있다. 지난 40년간 아프리카에 총 5700억달러가 지원됐지만 1인당 소득증가율은 1% 미만이라는 점이 이를 잘 말해준다. 그런 점에서 기술 전수와 의식개혁 운동이 동반되는 새마을운동을 새로운 국제협력 모델화하는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 이번 행사에 임찰리 캄보디아 부총리를 비롯 40여개국에서 450명이 한국을 찾은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다만 개도국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할 때는 유념할 점도 없지 않다. 새마을운동은 단순한 농촌근대화 사업은 아니었다. 새마을운동의 성공비결은 국민의식 개혁이 이뤄졌다는 점 외에도 무엇보다 성과에 따른 차별적 지원이 있었다는 점이다. 성과가 우수한 마을에는 지원을 확대하고 부진한 마을은 지원 대상에서 탈락시키는 경쟁원리가 결정적 요인이었다. 정부 지원을 동네별로 나눠 먹는 것이 아니라 성과에 기초해 차별화하는 유인구조야말로 성공의 요인이었던 것이다. 이 같은 방식은 자원이 부족한 개도국에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긴요한 성공의 방정식이다.

아프리카 등 개도국들에 새마을운동이 전해진 것은 어제오늘이 아니다. 개중엔 상당한 성공을 거둔 곳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 단순히 정부 자원을 골고루 나눠 갖는 것으로는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새마을운동의 내용과 프로그램을 좀 더 다듬고 내실화할 필요성이 크다. 새마을운동이 명실상부한 개도국 근대화 프로그램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