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연비·친환경 선박 개발로 기술 격차 벌려야"

기로에 선 조선산업 (3)·끝 위기탈출 해법 전문가 제언

국가미래연구원 세미나
대형社 과당경쟁…제값 받아야
기술력 확보하면 세계 1위 유지

중소형社 R&D강화 시급
자금·인력 등 정부 지원도 필요
‘조선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지창 삼성중공업 상무, 오일근 산업기술대 교수,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시스템산업정책관, 양종서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최동선 산업은행 조선금융팀장, 신오균 대우조선해양 상무.
국내 조선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조선사들이 위기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고연비·친환경 선박에 대한 개발을 강화해 경쟁 국가와 격차를 벌리고, 중형조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지난 10일 경남 거제시 애드미럴호텔에서 열린 ‘조선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구조조정 방안’ 토론회에서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국가미래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 등이 후원한 이 토론회에는 정부 업계 연구기관 관계자 60여명이 참석했다.

◆“기술력이 생존 가를 것”발제자로 나선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세계 조선산업은 긴 호황기를 지나면서 공급과잉 상황이 됐고, 한국 조선산업의 위기도 여기서부터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공급과잉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력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양 선임연구원은 “불황 속에서도 고연비·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며 “2016년부터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산정기준이 더욱 강화되는 등 환경 규제가 엄격해지면 한국 조선업계에는 경쟁국과 격차를 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오균 대우조선해양 상무도 “선박 환경규제는 건조비용과 난이도를 높이는 요인”이라며 “규제를 뛰어넘을 수 있는 친환경기술을 확보하느냐가 향후 조선업체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중소 조선사들에 대한 구조조정도 기술력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게 참석자들의 지배적 의견이었다. 양 선임연구원은 “한국 중소 조선사들은 아직 중국 조선사에 비해 생산부문을 중심으로 경쟁력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이들의 기술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구조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형 조선사들이 없어지면 국내 기자재산업도 수요 부족으로 문을 닫을 가능성이 높고, 결국 기자재 부실로 이어져 대형 조선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최동선 산업은행 조선금융팀장은 “중소형 조선사는 연구개발(R&D) 역량이 취약한 게 가장 큰 약점”이라며 “이를 어떻게 개선하는지에 따라 생존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중소형 조선사의 R&D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국내 대형 조선소의 협력이 필수적이고, 자금이나 인력 측면에서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시스템산업정책관은 “중소형 조선사에 대한 금융회사의 지원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인데, 고용이나 지역경제 측면을 보면 지원을 유지해야 하지만 은행이 언제까지 이를 감당할 수 있을지도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정부 입장에서는 기업의 입장과 은행의 입장을 다 반영해야 해 결정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빅3’ 과당경쟁 자제해야‘빅3’의 과당경쟁이 조선산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양 선임연구원은 “대형 3사 간 과당경쟁 때문에 제 가격을 받지 못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컨테이너선을 기준으로 할 때 빅3와 중국 조선사가 건조한 선박은 연비가 약 7% 차이 난다”며 “20년간 운항한다고 계산하면 40% 이상 비싼 가격을 받아도 되는데, 판매가는 약 15% 비쌀 뿐이다. 이는 과당경쟁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빅3가 과당경쟁을 하면서 가격을 내리다 보니 한국 중소형 조선사들도 가격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정지창 삼성중공업 상무는 “과당경쟁이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호황기를 기준으로 생산 설비를 늘려놓은 상황이라 비싼 가격에 수주하기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오일근 한국산업기술대 산업융합학과 교수는 “전통산업인 조선산업에서 후발주자 한국이 세계 1위를 하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며 “지금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요 해운 국가의 수요를 잘 읽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사진=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