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를 뛰어넘자"…50분간 혁신 외친 신창재

교보생명 '비전2020' 선포…2000년 이후 세 번째
"상품·채널 혁신으로 '넘버원' 생명보험사 될 것"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사진)이 “상품과 채널(고객과의 접점) 혁신을 통해 ‘넘버원’ 생명보험사가 되겠다”는 2020년 비전을 발표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이던 그가 부친 신용호 창업주의 부름을 받아 1996년 교보생명에 입사한 이후 2001년과 2011년에 이어 세 번째 제시하는 발전 비전이다. 그는 “상품·채널의 혁신은 경쟁사와의 싸움이 아니라 우리 과거와의 싸움”이라며 “넘버원이란 과거의 우리보다 더 많이 개선해 가장 혁신을 잘하는 회사가 되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신 회장은 지난 8일 충남 천안의 교보생명연수원(계성원)에서 열린 비전2020 출발대회에서 임직원 1000여명을 대상으로 50여분에 걸쳐 비전의 의미를 설명했다. “강연은 재미가 있어야 한다”는 지론에 따라 다양한 영상 자료를 담은 파워포인트도 곁들였다.신 회장은 ‘2016년은 보험산업을 둘러싼 급격한 환경변화가 시작되는 해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상품 개발과 가격에 대한 규제가 거의 다 풀리는 만큼 이제는 할 말이 없게 됐다”며 “상품과 채널을 얼마나 효율적이고, 빠르게 혁신하느냐에 보험사의 생존이 달려 있다”고 말했다.

신 회장은 또 “상품을 혁신하자고 하면 ‘상품지원실만 잘하면 되겠네’라고 생각해서는 결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혁신은 전 임직원이 평소에 의문을 갖고 아이디어를 내면 여러 팀이 머리를 맞대고 만들어내는 최종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강연 마지막 대목에선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다’는 중용의 한 구절을 소개하기도 했다.

신 회장은 비전을 중시하는 오너 경영인이다. 교보생명에서 비전은 회장보다 높은 ‘빅 보스(big boss)’로 통한다. 회장의 말보다 비전이 위에 있고, 회장도 비전을 따라야 한다는 의미라고 교보 측은 설명했다.신 회장의 비전 경영은 2001년 시작됐다. 당시 교보생명은 외환위기 후폭풍으로 자산 손실만 2조4000억원에 달하는 등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았다. 그때 신 회장은 외형 경쟁을 중단하고 ‘핵심 고객이 선호하는 회사’라는 10년 뒤를 염두에 둔 비전을 내놨다.

2011년엔 ‘고객보장을 최고로 잘하는 회사’라는 새 비전을 내세웠다. 보험 가입, 유지, 지급 등 전 과정의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 고객에게 ‘평생든든서비스’를 추진한 것도 신 회장의 의지였다. 지난 5년간 교보생명 설계사들은 해마다 150만명의 고객을 찾아가 모르고 있던 보험금 330억원을 찾아주기도 했다.

이런 노력은 경영 성과로 이어졌다. 고객 만족도를 가늠하는 2년 이상 계약유지율이 70%까지 상승했다. 5년 전보다 10%포인트 오른 것이다. 지난해 12월엔 국내 보험업계 처음으로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에서 신용등급 ‘A1’ 평가를 받기도 했다. 세계적인 금융사인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 등과 같은 등급이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