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최순실 파문'이 몰고온 증시 공포?…"NO! 괜찮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순실 파문'이 정국을 통째로 집어삼키고 있다. 정국 불안에 주식시장도 떨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와 연계한 연구개발(R&D)사업과 경제활성화 법안 그리고 내년도 예산안 점검까지 '올스톱'될 위기에 놓여서다.

여의도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27일 그러나 "정치적 불확실성이 주식시장을 좌지우지하지 못한다"면서 "외국인들도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지수선물을 팔았다고 볼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지난 26일 코스피지수는 1.14% 하락한 2013.89에 마감했다. 코스닥시장도 8개월 만에 630선(종가 기준)으로 밀려났다.

시장은 이날 주가 급락을 놓고 '최순실 씨 사태 탓'이라고 진단했다. 박근혜 정부의 정국 장악력이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작업이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에다 불안한 정치 상황이 외국인을 등 돌리게 만들었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이후 '최순실 특검' 도입과 잇단 대학가 시국선언으로 불거진 대통령의 하야 또는 탄핵을 요구하는 여론까지 등장하면서 '최순실 게이트가 미칠 증시 악영향에 투자자들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습이다.2004년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대한 헌정사상 첫 탄핵 소추를 사례로, 일각에선 코스피지수가 단기간에 6% 이상 급락해 우려를 증폭시켰다.

증시전문가들은 하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없다고 했다. '우려'를 '경제 리스크'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들의 판단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전략팀장은 "'최순실 게이트'가 기업들의 생산활동과 가계의 소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면서 "과거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기간에도 실물경제는 별다른 타격을 받지 않았었다"고 설명했다.이어 "그간 국내 경기와 주식시장이 정부의 경기부양 효과를 누려왔다면 모르겠지만,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이외에 정부의 경기부양 효과가 시장에 영향을 준 적은 거의 없었다"고 덧붙였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의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이란 '위기'를 오히려 저가 매수의 '기회'로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윤 센터장은 "정치적 변수는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을 좌우할 수 없다"며 "통상 정치적 이슈로 혼란에 빠진 시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투자심리에 기대지 않고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란 기업의 본질을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그는 "당분간 대통령의 탈당 또는 내각 총사태 등 정치 변수가 증시에도 영향을 줄 수 있겠지만 이후 대책이 나오면 상승 모멘텀(동력)이 될 수 있다"며 "코스피지수 역시 2000선을 경계로 바닥을 다지면서 싼 주식부터 반등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선물·옵션담당 연구원은 외국인의 '셀(sell) 코리아'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최 연구원은 "외국인이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내 선물을 매도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이는 '소설 같은 이야기'라고 본다"며 "외국인이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선물을 팔았다면 전날 신규 매도(미결제약정)가 등장했어야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지적했다.또 "외국인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선물 매도 포지션을 취했다면 프로그램 매도 물량이 유입됐어야 했다"며 "최근 외국인의 매도는 부진한 실적이 예상된 삼성전자 등 대기업의 실적 발표 등을 염두에 둔 선제적인 매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못 박았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