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좀비기업, 폐지심사 강화해야

이슈분석 시간입니다.오늘은 만년 적자인 이른바 좀비기업들의 심각성과 상장폐지 요건의 문제점 등을 짚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증권팀 신용훈 기자 함께합니다.신기자. 먼저 국내 상장기업들 가운데 상장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퇴출기준이 따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떤가요.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기준이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자본잠식이 되거나 매출액이 일정수준 이하로 지속되거나, 월평균 거래량이 기준에 미달된다든지 하면 퇴출이 되고요.이 밖에도 감사보고서 의견이 부정적일 경우 등도 퇴출대상에 포함이 되는데요. 다만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의 항목에 따라 금액이나 기간 기준이 조금씩 차이는 있습니다.선진국은 어떤가요? 미국이나 일본 등도 상장사들의 퇴출요건이 정해져 있을텐데 우리와 차이점이 있다면 어떤게 있을까요?일단 미국의 경우는 우리와 다른게 주가 기준이 있고요 일본은 자본잠식 기한이 우리보다 짧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 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최경식 기자가 국내와 해외 상장폐지 요건을 비교해 봤습니다.[최경식 리포트]우리나라 기준이 선진국과 비교해서 부족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은데, 어떤가요 실제 상장폐지 되는 기업 수는 얼마나 되는지요?우선 적자기업수하고 비교해서는 증시에서 퇴출되는 기업은 상당히 적은 편에 속합니다.코스피만 놓고 보면, 최근 5년간 퇴출된 기업수는 58개에 불과 합니다.특히 적자 기업들 수는 점점 늘고 있는데 정작 상장폐지 기준에는 적자 기준이 없어서 이들 좀비기업들로 인한 투자자 피해도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데요.박해린 기자가 적자 상장기업 현황과 퇴출 기업 현황을 짚어봤습니다.[박해린 리포트]근본적으로 상장폐지 기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해 보이는데 어떤가요?우리나라 상장폐지 기준이 선진국에 비해 모자라다고는 할 수 없지만 주가나 이익 같은 투자요건에 부합하는 기준이 없다는 점이 가장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데요.결국, 증시 진입의 문턱을 완화함과 동시에 이런 적자기업에 대한 퇴출 기준도 정비해서 증시의 건전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입니다. 박승원 기자가 보도합니다.[박승원 리포트]박스권에 갇힌 증시에 개인투자자 비중도 점차 줄고 있는데요. 투자 참여를 늘리기 위해서라도 상장 기업들의 건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 봐야할 때 인 것 같습니다.신기자 수고했습니다.신용훈기자 syh@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음주운전 호란 "낮술 즐겼는데.. 이제는 술 싫어져"ㆍ국민연금 수령액 4월부터 월 평균 3천547원 오른다ㆍ5월 6일 임시공휴일 효과 올해도? 달력보니 9일 ‘황금연휴’...직장인 `술렁`ㆍ[SNS 풍향계] "올해 본격 네이티브광고 시장 열린다"ㆍ제약/바이오주 몰락, 주가 재반등 시기는ⓒ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