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년 김정호 서울제약 사장의 자신감
입력
수정
지면A19
영업이익 4배↑…"필름형 치료제 최강자 될 것"김정호 서울제약 사장(사진)은 취임 초기 큰 위기에 봉착했다. 영업직원 30명이 한꺼번에 퇴사한 것. 리베이트(의약품을 채택해주는 대가로 주는 금품)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삭감한 김 사장의 방침에 반발해서였다. 전체 영업직원 70명 중 절반에 가까운 인력이 빠져나간 탓에 매출이 곤두박질쳤다. 하지만 김 사장은 리베이트에 기대서는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없다며 버텼다. 그는 고질적인 영업 관행을 없애기 위해 체질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 서울제약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40% 급증한 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7% 증가한 459억원을 올렸다.
김 사장은 “서울제약은 필름형 치료제를 만드는 기술이 강한 회사”라며 “리베이트를 통한 영업이 아니라 기술력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황준수 명예회장이 1976년 설립한 서울제약은 비아그라, 시알리스 등 알약 형태인 발기부전 치료제를 필름 형태로 개발한 회사다. 필름형 치료제는 휴대가 간편하고 복약하기가 편하다. 서울제약은 2012년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에 이어 지난해 7월 산도즈에 필름형 발기부전 치료제를 공급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김 사장은 “중국 등 해외 시장을 계속해서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김 사장은 대웅제약 JW중외제약 등에서 영업총괄 임원을 지낸 제약 영업통이다. 차병원그룹 계열사인 CMG제약 대표도 거쳤다. 2015년 10월 서울제약에 영입된 그는 대형 제약사의 경영 시스템을 이식하고자 했다. 우선 인재 찾기에 나섰다. 대웅제약 등 선두권 제약사 출신 임원을 적극 영입했다. 목표관리제도 시행했다. 매일 오전 7시 반에 임원 및 팀장 간 소통 시간을 갖고 하루 단위로 업무 달성 여부를 챙기고 있다.
연구개발(R&D)에서도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고 있다. 자본력이 약한 중소 제약사가 신약 개발에 뛰어드는 것은 무모하다는 판단에서다. 대신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기로 했다. 서울제약은 자체 필름 제제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필름형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충북 오송에 유럽연합 의약품품질관리(EU EMP) 등 국제 기준에 맞는 생산시설도 확보했다. 김 사장은 “만성질환 등으로 필름형 제제 품목을 늘려갈 것”이라며 “필름형 치료제 시장에서 세계 최강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