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취임] "필요하면 곧바로 워싱턴 날아가고 여건 조성되면 평양에도 가겠다"
입력
수정
지면A3
취임사로 본 국정 - 외교·안보문재인 대통령은 외교 및 안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말했다. 대선 유세 과정에서 공약으로 밝힌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검증과 위안부 소녀상 등 민감한 사안은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외교·안보와 관련해 다소 강경한 노선을 보인 ‘대선 후보자 문재인’과 ‘대통령 문재인’은 다르다는 인식을 대내외에 각인시키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안보 위기 해결 위해 정상회담 조기 추진 주목
"한미동맹 더욱 강화하고 미국·중국과 진지한 사드 협상"
문 대통령은 “안보 위기도 서둘러 해결하겠다”며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동분서주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필요하면 곧바로 워싱턴으로 날아갈 것이며, 베이징과 도쿄에도 가고, 여건이 조성되면 평양에도 가겠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가능한 한 빨리 정상회담을 하고, 나아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도 만날 의향이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아울러 “한반도의 평화 정착을 위해서라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겠다”며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반미주의자’란 꼬리표를 떼어내고, 한·미동맹 노선은 변화가 없다고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이어 “사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 및 중국과 진지하게 협상하겠다”고 밝혔다. 또 “자주 국방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북핵 문제를 해결할 토대도 마련하고, 동북아 평화 구조를 정착시켜 한반도의 긴장 완화를 위한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일단 문 대통령은 외교 및 안보와 관련해 기존의 이념 중심적 사고방식 대신 실용주의 노선을 천명한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분야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이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국 모두와 사실상 냉각 관계에 빠진 외교 상황을 직시하고 있는 것 같다”며 “대선후보 시절보다 상당히 유화적인 자세”라고 전했다.다만 대북정책과 관련해선 북한의 철저한 고립을 원하는 미국과 일본, 북한의 우방인 중국 측과 부딪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이란 우려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비핵화 이전 핵동결부터 해야 한다”는 ‘단계적 비핵화’ 방식을 내놨다. 또 ‘한반도 프라이카우프(이산가족 전체상봉)’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인도적 대북지원도 강조했다. 하지만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 가능성이 남아 있고,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기 때문에 남북 간 교류 재개는 조속히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자주 국방력 강화가 주한미군과 맞물려 어떻게 전개될지도 눈여겨볼 사항이다. 문 대통령은 ‘유능한 안보와 강한 대한민국’을 구호로 북핵 대응 핵심전력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조기 구축화, 한국군 전시작전통제권의 임기 내 전환 추진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