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있는 아침] 박생광 '여인과 민속'
입력
수정
지면A2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민속회화를 개척한 내고(乃古) 박생광(1904~1985)은 17세의 나이에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해방될 때까지 일본에서 작품 활동을 한 그는 광복과 함께 귀국했지만 한국 화단은 그를 반기지 않았다. 너무나 혼란한 시대적 상황과 일본 회화 배척운동이 극에 달한 화단의 현실 때문이었다.
그는 오랜 일본 유학과 현지 화단 활동 탓에 왜색풍 화가라는 혹평 속에 잊혀지는 듯했다. 하지만 1970년대 말 단청과 불화, 무속화 등에서 발견한 토속적인 이미지들을 오방색을 사용해 화폭에 담아 한국 고유의 채색화풍을 창안하며 극적인 자기변신에 성공했다.‘여인과 민속’은 강렬한 오방색 위에 새로운 물감을 가볍게 발라 색에 미묘한 변화를 준 절정기 작품이다. 곱게 땋은 머리를 만지는 여인의 모습 뒤로 목안(木雁) 한 쌍과 목가구를 강렬한 원색과 굵은 주황색 윤곽선으로 잡아냈다. 여인의 눈빛과 섬세한 표정을 고혹적으로 살려낸 게 돋보인다. 사람과 사물의 조합, 배치, 구성 등을 중요시하는 특유의 화법으로 한국 고유의 채색 전통을 부각하는 동시에 현대적 조형감각도 구현해냈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