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 vs 중국 완다시네마… 글로벌 '맞짱 기업' 주가 리포트
입력
수정
지면A12
한·중 대표 영화체인, 실적·주가 닮은꼴 행보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영화 체인 기업은 CJ CGV와 완다시네마다. 각각 한국 유가증권시장과 중국 선전A시장에 상장된 두 회사는 여러모로 닮은꼴이다. 모두 자국에서의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신작 속속 개봉…하반기 '반전 드라마' 예고
국내 점유율 49.7% CJ CGV
최근 흥행작 '가뭄' 여파, 올 4월 이후 주가 22% 빠져
중국 등 해외서 빠르게 성장
글로벌 점유율 15% 완다시네마
미국·유럽서 거침없는 M&A 행보
중국 정부의 모기업 조사 악재에도 세계 영화산업서 영향력 커질 듯
최근 주가가 움직이는 궤적도 닮았다. 한동안 꾸준한 상승세를 그렸던 두 종목은 CJ CGV가 4월, 완다가 6월부터 각각 조정을 받고 있다.◆활발한 해외 공략
CJ CGV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49.7%(매출 기준)에 달한다. 한국 1위 영화 체인 기업이다. 완다는 중국 1위다. 작년 기준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13.4%다.
두 회사는 이를 바탕으로 해외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CJ CGV는 완다의 안방인 중국 시장 공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2006년 중국 상하이 1호점을 연 뒤 영화관 수를 지속적으로 늘려 2017년 1분기 기준으로 중국 내 81개 극장, 636개 상영관을 운영하고 있다.중국 연결법인의 작년 매출은 CJ CGV 전체의 16.8%(2410억원)로, 아직 비중이 크지 않다. 하지만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CJ CGV는 중국뿐 아니라 터키(90곳), 베트남(40곳), 인도네시아(27곳)에서도 출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베트남 최대 사업자인 CJ CGV 베트남의 국내 상장을 추진하는 것도 호재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CJ CGV는 CJ CGV 베트남 상장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며 1500원(2.24%) 오른 6만8600원에 장을 마쳤다.
완다는 미국 극장업계 2위인 AMC엔터테인먼트를 2012년에 사들인 것을 비롯해 호주, 유럽 등에서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펼쳤다. 이에 따라 작년 말 기준 완다의 전 세계 극장점유율은 15%를 넘었다. 장재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완다는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영화산업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조정받는 주가
CJ CGV 주가는 지난 4월21일 1년 내 최고가인 8만8200원을 찍은 뒤 조정이 이어지고 있다. 이후 이날까지 22.22% 하락했다. 이처럼 조정을 받은 건 국내 시장에서의 영화 흥행 부진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올 들어 국내 극장가엔 별다른 ‘흥행작’이 없었다. 작년 이후 10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영화는 ‘부산행’ 하나뿐이었다. CJ CGV의 2분기 순이익 컨센서스(증권업계 추정치 평균)는 27억원으로, 전년 동기(45억원)보다 40.0% 감소했다.완다는 작년 2분기 이후 영화 관람객 수가 줄어들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작년 1분기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중국 박스오피스 매출이 중국 온라인 영화티켓 할인 축소와 흥행작 공백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완다는 또 외풍에 ‘직격탄’을 맞았다. 완다는 모기업인 완다그룹이 중국 정부로부터 해외 M&A 과정 등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다. 완다는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지난 6월22일 9.90% 하락하기도 했다. 전고점(60.15위안)을 찍었던 6월7일 이후 하락률은 13.48%다. 완다는 지난달 4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자회사인 완다미디어 지분 인수와 관련해 거래 정지를 당했다.
◆중국 영화시장 성장 수혜
증권업계는 하반기부터 CJ CGV의 실적이 반등할 것으로 분석한다. 여름 성수기를 맞아 ‘덩케르크’ 등 할리우드 대작과 함께 ‘군함도’ ‘택시운전사’ 등 기대작이 속속 개봉했기 때문이다. 완다는 지난 4월 ‘분노의 질주8’이 흥행에 성공한 뒤 ‘캐리비안의 해적5’ ‘원더우먼’ ‘스파이더맨 홈커밍’ 등 할리우드 대작이 잇따라 개봉하면서 반전을 노리고 있다.장기적으로 중국 영화시장의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만큼 두 회사는 꾸준히 성장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민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인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중산층이 두터워지며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