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북 특사 보낼까… "北에 솔깃한 제안해야 가능"
입력
수정
中외교부 특사 파견설에 "대화 촉진에 끊임없이 노력중"
최근 북한과 미국이 '말 폭탄' 전쟁을 벌이며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가운데 중재자로 나선 중국이 북한에 특사를 파견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미국이 중국에 '북핵 책임론'을 거론하며 북한에 압박을 가하라고 강력히 요구하는 상황에서 상무위원급 고위 관료를 평양에 보내 한반도 긴장 완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그러나 김정은 북한 정권 발족 후 북중간 관계가 급속히 냉각돼 고위급 교류가 사실상 실종된 데다 지난 4월 한반도 위기설이 터지며 긴박했을 당시에도 중국은 북한에 자제만 촉구했을 뿐 특사 파견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도 나온다.
14일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중국의 대북 특사 파견 가능성에 대해 "특사라는 것은 일방적으로 파견할 수 없다"면서 "어떤 급의 관리가 갈 테니 받아들이겠느냐고 해야 갈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올해 '4월 위기설'이 나올 때도 특사가 가길 원했던 것 같은데 북한 측에서 안 받았다"면서 "특사라는 것은 갔을 때 메시지가 있어야 하며 상대편이 봤을 때 득이 돼야 특사로 오라고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에 솔깃한 제안을 한다면 북한이 중국 특사를 흔쾌히 받을 수 있겠지만 '핵 개발하지 마라', '긴장 고조하지 마라' 등 압력으로 비치는 말을 하러 온다면 받아들여 주겠는가"라면서 "비중 있는 인물이 간다면 북한이 받아줄 수도 있지만 지난 4월에 안 된 경험을 볼 때 예측이 어렵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특사 파견설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꺼리면서 "중국은 한반도의 이웃국가로서 우리는 한반도 정세 발전을 매우 예의주시하고 있고 각국의 대화를 촉진하도록 우리가 끊임없이 노력하고 우리의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중국 측은 6자회담 관련 당사자들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고 중국 측의 입장을 각국이 매우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 소식통은 6자회담의 중국 측 수석대표 자리인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우다웨이(武大偉)에서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로 바뀌었지만, 중국의 대북 태도에 변화 기류가 없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우다웨이의 은퇴는 예상됐던 것으로 쿵쉬안유 부장조리도 한반도 문제를 줄곧 다뤄왔다"면서 쿵 부장조리가 통상적인 차원에서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화춘잉 대변인은 쿵쉬안유 부장조리로 바뀐 것에 대해 "이번 인사 조정은 현재 정세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은 일관되고 명확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비핵화 체계를 유지하고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유지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출발해 각국의 대화를 촉진하고 한반도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
최근 북한과 미국이 '말 폭탄' 전쟁을 벌이며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가운데 중재자로 나선 중국이 북한에 특사를 파견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미국이 중국에 '북핵 책임론'을 거론하며 북한에 압박을 가하라고 강력히 요구하는 상황에서 상무위원급 고위 관료를 평양에 보내 한반도 긴장 완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그러나 김정은 북한 정권 발족 후 북중간 관계가 급속히 냉각돼 고위급 교류가 사실상 실종된 데다 지난 4월 한반도 위기설이 터지며 긴박했을 당시에도 중국은 북한에 자제만 촉구했을 뿐 특사 파견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도 나온다.
14일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중국의 대북 특사 파견 가능성에 대해 "특사라는 것은 일방적으로 파견할 수 없다"면서 "어떤 급의 관리가 갈 테니 받아들이겠느냐고 해야 갈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올해 '4월 위기설'이 나올 때도 특사가 가길 원했던 것 같은데 북한 측에서 안 받았다"면서 "특사라는 것은 갔을 때 메시지가 있어야 하며 상대편이 봤을 때 득이 돼야 특사로 오라고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에 솔깃한 제안을 한다면 북한이 중국 특사를 흔쾌히 받을 수 있겠지만 '핵 개발하지 마라', '긴장 고조하지 마라' 등 압력으로 비치는 말을 하러 온다면 받아들여 주겠는가"라면서 "비중 있는 인물이 간다면 북한이 받아줄 수도 있지만 지난 4월에 안 된 경험을 볼 때 예측이 어렵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특사 파견설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꺼리면서 "중국은 한반도의 이웃국가로서 우리는 한반도 정세 발전을 매우 예의주시하고 있고 각국의 대화를 촉진하도록 우리가 끊임없이 노력하고 우리의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중국 측은 6자회담 관련 당사자들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고 중국 측의 입장을 각국이 매우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 소식통은 6자회담의 중국 측 수석대표 자리인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우다웨이(武大偉)에서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로 바뀌었지만, 중국의 대북 태도에 변화 기류가 없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우다웨이의 은퇴는 예상됐던 것으로 쿵쉬안유 부장조리도 한반도 문제를 줄곧 다뤄왔다"면서 쿵 부장조리가 통상적인 차원에서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화춘잉 대변인은 쿵쉬안유 부장조리로 바뀐 것에 대해 "이번 인사 조정은 현재 정세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은 일관되고 명확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비핵화 체계를 유지하고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유지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출발해 각국의 대화를 촉진하고 한반도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