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네이버 FARM] "동물복지 농장 만들면 '살충제 계란' 막는다? 글쎄요"

산란계 농장 대표들에게 듣는다

방사형 농장, 땅 좁은 한국선 힘들어
사육 방식보다 방역 관리가 중요
생산량 줄면 대량 수입 불가피
살충제 계란 파동의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부실조사로 인한 재조사와 보완조사 등으로 계란 상품 전반의 소비자 신뢰가 낮아지는 분위기다.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계란 소비가 더 크게 줄어들면서 산지가격은 급락하고 있다. 계란 생산농가 중에선 “정부가 지급한 약품을 썼는데 이렇게 됐다”며 억울해하는 곳도 있다.

살충제 계란 조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들은 이 사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네 곳의 산란계 농장 대표를 인터뷰했다. 민석기 다솔농장 대표, 유영도 어울림농장 대표, 장용호 원에그 대표 등 동물복지 농장을 운영하는 세 명의 농부와 일반 산란계 농장을 운영하는 안영기 안일농장 대표 등이다.
유영도
농부들은 먼저 이번 사태가 예견된 비극이라고 입을 모았다. 장 대표는 “축산인들이 별다른 생각 없이 관행적으로 그렇게 해 온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경북 봉화군에서 6만4800여 마리의 닭을 동물복지 방식으로 키워 풀무원에 공급하고 있다. 유 대표는 “그동안 살충제 문제에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도 그렇고 소비자도 그랬던 것 같다”고 했다. 전남 영광군에서 어울림농장을 운영하는 유 대표는 마당에서 닭을 키우는 방식으로 1만7000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민석기
농민들이 살충제를 사용하면 안 된다는 사실을 몰랐다는 얘기도 나왔다. 안 대표는 “살충제를 쓰는 방법이나 사용하면 안 되는 물질에 대한 교육이 부족했다”며 “정부에서 나눠준 살충제를 사용했을 뿐이라는 농가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인터뷰에 응한 사람 중 유일한 일반 산란계 농장주다. 그가 대표를 맡고 있는 안일농장의 사육 산란계는 30만여 마리다.

닭은 동물이기 때문에 진드기나 해충 위협에 노출돼 있다. 하지만 이들은 문제가 된 살충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다양한 노하우로 해충을 막거나 제거한다. 민 대표는 “닭이 알아서 치유한다”고 했다. 그는 “공기가 통하고 햇빛이 들어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 대표가 운영하는 다솔농장은 전남 화순에 있다. 전남에서 처음으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받은 곳이다. 그는 개방형 양계장과 마당에서 1만여 마리의 닭을 키워 학사농장과 한마음공동체 등에 납품한다.

안영기
장 대표는 외부의 해로운 물질과의 격리를 중시한다. 그는 “외부의 해로운 물질이 양계장 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하기 위해 닭과 사람의 접촉을 차단한다”고 했다. 장 대표는 동물복지 인증을 받기는 했지만 자연방목은 하지 않고 있다. 사육 산란계가 6만 마리에 이르기 때문에 자연방목을 하면 관리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일반 양계장을 운영하는 안 대표는 좀 더 기본적이고 실무적인 해법을 찾고 있다. 그는 “케이지 사육을 하더라도 먼지 관리를 철저히 하고 해충이 생겼을 경우엔 허브 등 자연 약제를 사용해 냄새를 활용한 방제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살충제 계란 파동을 겪으면서 소비자들은 동물복지 농장을 주목하고 있다.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산란계 농장을 모두 동물복지 농장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그건 해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일반 농장을 운영하는 안 대표뿐 아니라 다른 세 명의 동물복지 농장 농부들도 같은 대답을 했다. 대량 생산을 통해 저렴한 계란을 파는 곳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민 대표는 “한국은 땅이 좁아서 모두 동물복지 농장을 하겠다고 나서면 오히려 곤란하다”고 말했다. 국내 소비량을 고려하면 동물복지 농장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대신 그는 기존 농장의 환경과 시설 개선은 필수라고 덧붙였다.동물복지 농장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나왔다. 장 대표는 “방역문제만 놓고 본다면 사육 방식보다 농장주의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케이지 사육을 하더라도 철저하게 관리했다면 이번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방사형으로 닭을 키우는 전북 김제의 한 농장에서도 살충제인 플루페녹수론이 계란에서 검출됐다. 이 농장주는 살충제를 전혀 쓰지 않는데도 농약이 나온 건 인근 논에서 뿌린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안 대표는 동물복지 농장으로 대거 전환하면 계란을 수입해야 하는데 수입 계란의 안전 문제가 또다시 불거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경우 “계란 수급 대책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FARM 강진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078863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