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보유자산 첫 축소…긴축행보 본격화
입력
수정
추가 금리 인상과 맞물려 향후 파장 주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보유자산 축소에 나선다.연준은 20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이 같은 방침을 공식화 했다.
일단 다음 달 100억 달러 규모를 시작으로 향후 몇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자산을 줄여나간다는 게 골자다.
지난 2015년 12월 첫 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후 올해 6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0.25%씩 금리 인상을 한 데 이은 긴축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는 셈이다.연준의 이 같은 움직임의 저변에는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경제에 큰 충격을 던진 금융위기 국면에서 벗어났다는 확신도 한몫한다.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연준은 경기부양에 전력했다.이 기간 연준의 보유자산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난 것도 양적 완화를 겨냥한 무차별 물량공세였다.
금융위기 이전 연준 보유자산이 1조 달러 미만이었던 데서 4조5천억 달러로 대거 불어난 것을 다시 되돌리겠다는 게 이번 연준 방침의 핵심이다.
연준은 다음 달부터 매달 100억 달러의 자산 축소를 시작으로, 자산 축소액을 점진적으로 늘려 1년 뒤에는 매달 500억 달러 정도씩 자산을 줄여나갈 것으로 알려졌다.이런 경로를 거쳐 최대 2조 달러에 달할 때까지 자산 축소를 계속할 것으로 시장은 파악하고 있다.
보유자산 축소는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긴축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장기금리 상승을 의미한다.
자산 축소가 금리 인상 못잖은 긴축 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 향후 경제에 미칠 여파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준은 시장에 미칠 파장을 고려, 점진적인 자산 축소 행로를 예고해 놓고 있다.
연준 위원들은 한결같이 "자산 축소의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급격한 긴축이 시장에 미칠 악영향을 피해가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연준이 이번에 금리 인상을 동결키로 한 것도 당장의 시장 부담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추가 금리 인상 시기로는 일러야 오는 12월 정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팽배하다.
다만 연준 위원들은 내년에 3차례, 2019년 2차례, 2020년 한 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장기적으로 금리 상단을 3%까지는 끌어올리겠다는 것인 만큼 긴축 기조는 확실하다.
자산 축소와 금리 인상이라는 '긴축의 양대 축'이 본격화하는 만큼 그 여파가 적지 않을 것이나,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시행하는 것인 만큼 시장이 대비할 여력이 없지는 않다.
한국 경제도 마찬가지다.
이미 예고된 수순에 대비한 금융당국의 사전 준비는 기본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1.25%인 점을 고려하면 현 추세대로 갈 경우 조만간 한ㆍ미간 금리 역전이 불가피하다.혹 있을지 모를 자본 유출은 물론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되고 있는 가계부채 대책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워싱턴연합뉴스) 송수경 특파원 hanksong@yna.co.kr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보유자산 축소에 나선다.연준은 20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이 같은 방침을 공식화 했다.
일단 다음 달 100억 달러 규모를 시작으로 향후 몇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자산을 줄여나간다는 게 골자다.
지난 2015년 12월 첫 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후 올해 6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0.25%씩 금리 인상을 한 데 이은 긴축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는 셈이다.연준의 이 같은 움직임의 저변에는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경제에 큰 충격을 던진 금융위기 국면에서 벗어났다는 확신도 한몫한다.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연준은 경기부양에 전력했다.이 기간 연준의 보유자산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난 것도 양적 완화를 겨냥한 무차별 물량공세였다.
금융위기 이전 연준 보유자산이 1조 달러 미만이었던 데서 4조5천억 달러로 대거 불어난 것을 다시 되돌리겠다는 게 이번 연준 방침의 핵심이다.
연준은 다음 달부터 매달 100억 달러의 자산 축소를 시작으로, 자산 축소액을 점진적으로 늘려 1년 뒤에는 매달 500억 달러 정도씩 자산을 줄여나갈 것으로 알려졌다.이런 경로를 거쳐 최대 2조 달러에 달할 때까지 자산 축소를 계속할 것으로 시장은 파악하고 있다.
보유자산 축소는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긴축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장기금리 상승을 의미한다.
자산 축소가 금리 인상 못잖은 긴축 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 향후 경제에 미칠 여파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준은 시장에 미칠 파장을 고려, 점진적인 자산 축소 행로를 예고해 놓고 있다.
연준 위원들은 한결같이 "자산 축소의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급격한 긴축이 시장에 미칠 악영향을 피해가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연준이 이번에 금리 인상을 동결키로 한 것도 당장의 시장 부담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추가 금리 인상 시기로는 일러야 오는 12월 정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팽배하다.
다만 연준 위원들은 내년에 3차례, 2019년 2차례, 2020년 한 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장기적으로 금리 상단을 3%까지는 끌어올리겠다는 것인 만큼 긴축 기조는 확실하다.
자산 축소와 금리 인상이라는 '긴축의 양대 축'이 본격화하는 만큼 그 여파가 적지 않을 것이나,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시행하는 것인 만큼 시장이 대비할 여력이 없지는 않다.
한국 경제도 마찬가지다.
이미 예고된 수순에 대비한 금융당국의 사전 준비는 기본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1.25%인 점을 고려하면 현 추세대로 갈 경우 조만간 한ㆍ미간 금리 역전이 불가피하다.혹 있을지 모를 자본 유출은 물론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되고 있는 가계부채 대책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워싱턴연합뉴스) 송수경 특파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