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이 생각하는 적정 노후생활비는 월 252만원
입력
수정
"주택 빚 때문에 노후 대비 못해"서울시민이 생각하는 적정 노후 생활비(부부 기준)는 월 251만5천원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집을 살 때 진 빚 때문에 현재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는 가구는 절반에 그쳤다.
서울연구원이 26일 발표한 '1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서울시민의 노후준비 실태'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46.6%는 적정 노후생활비가 200만∼300만원은 돼야 한다고 답했다.
300만∼400만원은 27.4%, 100만∼200만원 미만은 16.2%로 나타났다.이는 서울지역 표본 1천13가구를 기준으로 지난달 5∼22일 설문 조사한 결과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8%다.
응답자 연령이 낮을수록 적정 노후생활비 금액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30대 이하는 적정 노후생활비가 월 267만7천원 정도는 돼야 한다고 답했으나 40대는 259만1천원, 50대는 245만3천원, 60대는 230만4천원이었다.
노후생활비가 250만원 이상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많았으나 현재 노후준비를 하는 가구는 49.9% 정도였다.
응답자 대부분은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 수준이 '보통'이거나 부족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노후생활 준비가 잘 안 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주택구매 및 부채상환(43.1%)이 꼽혔다.
노후를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으로 대비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49.5%였고 개인연금 등 사적연금(25.0%), 부동산·임대수입·역모기지론(10.8%), 예·적금 등 은행상품(10.6%)이 뒤를 이었다.정부가 지원해야 할 가장 시급한 노후 대책으로는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지원정책'(40.0%)이 꼽혔다.
그다음으로는 '노인 의료 복지 서비스 확대'(20.6%), '치매 국가책임제도 확대'(17.8%), '기초노령연금제도 수급액 및 대상 확대'(11.9%)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소비자태도지수는 올해 1분기 97.3으로 전 분기보다 6.0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83.2)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서울연구원은 "1분기 이후 소비자태도지수의 향방은 고용지표 개선에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며 "최근 고용지표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 시민들이 체감하기에는 미약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서울연구원이 26일 발표한 '1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서울시민의 노후준비 실태'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46.6%는 적정 노후생활비가 200만∼300만원은 돼야 한다고 답했다.
300만∼400만원은 27.4%, 100만∼200만원 미만은 16.2%로 나타났다.이는 서울지역 표본 1천13가구를 기준으로 지난달 5∼22일 설문 조사한 결과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8%다.
응답자 연령이 낮을수록 적정 노후생활비 금액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30대 이하는 적정 노후생활비가 월 267만7천원 정도는 돼야 한다고 답했으나 40대는 259만1천원, 50대는 245만3천원, 60대는 230만4천원이었다.
노후생활비가 250만원 이상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많았으나 현재 노후준비를 하는 가구는 49.9% 정도였다.
응답자 대부분은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 수준이 '보통'이거나 부족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노후생활 준비가 잘 안 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주택구매 및 부채상환(43.1%)이 꼽혔다.
노후를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으로 대비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49.5%였고 개인연금 등 사적연금(25.0%), 부동산·임대수입·역모기지론(10.8%), 예·적금 등 은행상품(10.6%)이 뒤를 이었다.정부가 지원해야 할 가장 시급한 노후 대책으로는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지원정책'(40.0%)이 꼽혔다.
그다음으로는 '노인 의료 복지 서비스 확대'(20.6%), '치매 국가책임제도 확대'(17.8%), '기초노령연금제도 수급액 및 대상 확대'(11.9%)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소비자태도지수는 올해 1분기 97.3으로 전 분기보다 6.0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83.2)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서울연구원은 "1분기 이후 소비자태도지수의 향방은 고용지표 개선에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며 "최근 고용지표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 시민들이 체감하기에는 미약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