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고조되는 GM 철수설… 부도·지급불능 공식 언급 잇따라
입력
수정
임단협 교섭 헛돌자 엥글, 카젬 사장 '최후통첩'성 호소
완전 철수, 판매 외 생산시설 철수 등 시나리오 난무
한국지엠(GM)의 구조조정 작업이 인건비 절감을 위한 노사 임단협에서 수 주째 막히면서, '수습·회생'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처럼 보였던 한국GM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배리 엥글 본사 제너럴모터스(GM) 사장,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등이 잇따라 '부도', '지급불능'을 언급하기 시작했고, 실제 한국GM의 자금 상황도 4월 들어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GM 안팎에서는 완전 철수, 생산기능 철수-판매기능 잔류 등 다양한 철수 시나리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 카젬 "4월 6일부터 지급불능"·엥글 "20일 부도 가능성"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28일 임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만약 3월 말까지 노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4월 초 도래하는 각종 비용 지급을 위한 추가 자금 확보가 불가능한 사태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그는 "현재 회사의 유동성 상황을 감안했을 때, 추가 자금이 수혈되지 않는다면 4월 6일 지급하기로 한 일시금(2017년 임금협상에서 합의한 성과급)을 포함해 각종 비용 지급이 불능 상태가 된다"고 덧붙였다.
4월 중 지급이 예정된 작년도 성과급 중 절반(1인당 약 450만원),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2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한 약 2천600명에 대한 위로금 등을 모두 줄 수 없을 만큼 자금난이 심각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GM과 한국GM은 이들 인건비 지급에만 약 6천억원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아울러 카젬 사장은 "GM과 산업은행 등 한국GM 주주들은 경영정상화 계획에 대한 모든 당사자의 분명하고 적극적 참여 없이는 자금 지원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와의 임단협 잠정 합의 없이는 앞서 GM이 제시한 27억 달러 차입금 출자전환, 신차 배정, 28억 달러 신규 투자 계획은 물론 산은의 신규 투자도 이뤄질 수 없다는 주장이다.
앞서 지난 26일 한국을 방문한 본사 엥글 사장 역시 노조와의 비공개 면담에서 "이달 말까지 노사 임단협이 잠정 합의에라도 이르지 못하면 4월 20일 정도까지 자구안을 마련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 경우 정부나 산업은행의 지원도 기대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현재 자금난 상황에서 부도가 날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GM과 한국GM 경영진의 이런 잇단 발언은 2월 13일 군산공장 폐쇄 발표 이후 약 한 달 보름여 간 GM 측이 보인 태도와는 사뭇 다른 것이다.
군산공장 폐쇄 결정 이후 GM 측은 예상과 달리 거듭 "한국에서 계속 사업하고 싶다"고 강조하며 한국GM에 빌려준 차입금 전액 출자전환, 2개 종류 신차 배정, 신차 생산시설·연구개발(R&D) 신규 투자 등 나름대로 현실성 있고 굵직한 회생 방안을 비교적 발 빠르게 내놓았다.
정부와 2대 산업은행도 '문서화'를 꾸준히 요구하긴 했지만 대체로 GM의 이런 자구 계획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GM 경영 실사도 시작됐다.
◇ 2조3천억 자금난 몰려…이사회, GM에 채권 회수 보류 요청하기로
하지만 2월 초 상견례로 시작된 2018년도 임단협 교섭이 한 달 20여 일간 진척 없이 헛돌면서, 한국GM 안팎의 분위기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자금난과 신차 배정이다.
현재 한국GM은 카젬 사장의 말처럼 당장 4월 6일 작년도 성과급의 절반(1인당 약 450만원)을 주는 데 필요한 720억원(450만원×1만6천명)조차 마련하기 버거운 실정으로 알려졌다.
한국GM 관계자는 "지난주에는 팀장급 이상 약 500명의 작년도 성과급 전체 지급이 보류됐고, 이 상태라면 6일 직원들 성과급 지급도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4월 말에는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2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한 약 2천600명에 위로금도 지급해야 한다.
2~3년 치 연봉, 평균 2억원으로만 계산해도 약 5천억원의 현금이 필요하다.
차입금 문제도 심각하다.
한국GM은 이달 말 다시 GM으로부터 빌린 7천억원 차입금의 만기를 맞는다.
GM은 지난해 말 7천억원의 채권 만기를 올해 2월 말로 연장했고, 지난달 23일 이사회에서도 만기를 '3월 말'로 한 차례 더 늦췄다.
따라서 GM은 이달 말 돌아오는 채권의 만기를 다시 연장할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뿐 아니라 한국GM 감사보고서(2016년 말 기준)에 따르면 4월 1일부터 8일까지 무려 9천880억원의 차입금 만기도 줄줄이 돌아온다.
대부분 2012년 이후 2016년까지 'GM 홀딩스 LLC' 등 GM 본사와 계열사로부터 한국GM이 빌린 돈으로, 이자율은 4.8~5.3% 수준이다.
결국, 4월 말까지 차입금 만기 연장에 실패할 경우 한국GM은 약 2조3천억원(7천억+9천880억+5천억+720억원)을 어디서 빌려서라도 조달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28일 열린 한국GM 이사회에서도 이 심각한 '유동성' 부족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는 GM 본사에 각각 이달 말과 4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한국GM의 7천억원, 9천880억원 차입금 만기 연장을 요청하기로 했지만, 최근 달라진 GM 내부 분위기로 미뤄 연장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신차 배정도 무산 위기…한국GM 사측의 교섭 독촉도 사라져
부평공장 스포츠유틸리티카(SUV), 창원공장 크로스오버유틸리티(다목적차량·CUV) 신차 배정 시한도 임박했다.
한국GM 관계자는 "3월 초부터 본사의 글로벌 신차 배정 논의가 시작됐지만, 한국GM 상황 때문에 확정 발표가 늦춰지고 있다"며 "하지만 다른 나라 사업장들의 생산 일정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3월 말 이후까지 신차 배정을 더 미루기 어렵다는 게 본사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최근 GM의 경영 방침은 채산성과 효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사업장에는 신규 투자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라며 "사측이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노사 교섭에서 포괄적이나마 인건비 절감 등을 포함한 '임단협 합의'가 도출돼야 한다고 노조에 호소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GM과 한국GM의 입장은 '임단협 잠정합의를 통한 흑자구조, 자구계획 완성'이라는 마지막 퍼즐이 끼워지지 않으면 GM본사와 산은, 한국 정부 등 나머지 이해당사자들의 회생 계획이 모두 원점으로 돌아가고, 정리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임단협이 중요한데도, 최근 한국GM 사측이 예전과 달리 노조에 실무적으로 직접 교섭을 요청하는 횟수가 오히려 줄었다는 점도 눈에 띈다.
28일 노조는 앞서 자신들이 공개한 요구안을 놓고 교섭을 재개하자고 사측에 보냈고, 사측은 29일 교섭을 통해 사측 수정안을 검토하자는 답을 보내긴 했지만 지난 1주일간 사측이 교섭을 먼저 제안한 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국GM 안팎에서는 GM이 완전 철수, 엔지니어링·디자인센터 등을 남긴 부분 철수, 군산공장 이어 생산시설 일부(창원공장 가능) 추가 철수, 생산 완전 철수 후 판매 기능만 잔류 등의 철수 시나리오가 갑자기 쏟아지고 있다.한국GM 관계자는 철수설의 진위에 대해 "알 수 없는 일"이라며 "군산공장 폐쇄 당시에도 본사 GM은 한국GM 직원들에게 미리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예측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완전 철수, 판매 외 생산시설 철수 등 시나리오 난무
한국지엠(GM)의 구조조정 작업이 인건비 절감을 위한 노사 임단협에서 수 주째 막히면서, '수습·회생'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처럼 보였던 한국GM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배리 엥글 본사 제너럴모터스(GM) 사장,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등이 잇따라 '부도', '지급불능'을 언급하기 시작했고, 실제 한국GM의 자금 상황도 4월 들어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GM 안팎에서는 완전 철수, 생산기능 철수-판매기능 잔류 등 다양한 철수 시나리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 카젬 "4월 6일부터 지급불능"·엥글 "20일 부도 가능성"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28일 임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만약 3월 말까지 노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4월 초 도래하는 각종 비용 지급을 위한 추가 자금 확보가 불가능한 사태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그는 "현재 회사의 유동성 상황을 감안했을 때, 추가 자금이 수혈되지 않는다면 4월 6일 지급하기로 한 일시금(2017년 임금협상에서 합의한 성과급)을 포함해 각종 비용 지급이 불능 상태가 된다"고 덧붙였다.
4월 중 지급이 예정된 작년도 성과급 중 절반(1인당 약 450만원),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2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한 약 2천600명에 대한 위로금 등을 모두 줄 수 없을 만큼 자금난이 심각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GM과 한국GM은 이들 인건비 지급에만 약 6천억원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아울러 카젬 사장은 "GM과 산업은행 등 한국GM 주주들은 경영정상화 계획에 대한 모든 당사자의 분명하고 적극적 참여 없이는 자금 지원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와의 임단협 잠정 합의 없이는 앞서 GM이 제시한 27억 달러 차입금 출자전환, 신차 배정, 28억 달러 신규 투자 계획은 물론 산은의 신규 투자도 이뤄질 수 없다는 주장이다.
앞서 지난 26일 한국을 방문한 본사 엥글 사장 역시 노조와의 비공개 면담에서 "이달 말까지 노사 임단협이 잠정 합의에라도 이르지 못하면 4월 20일 정도까지 자구안을 마련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 경우 정부나 산업은행의 지원도 기대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현재 자금난 상황에서 부도가 날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GM과 한국GM 경영진의 이런 잇단 발언은 2월 13일 군산공장 폐쇄 발표 이후 약 한 달 보름여 간 GM 측이 보인 태도와는 사뭇 다른 것이다.
군산공장 폐쇄 결정 이후 GM 측은 예상과 달리 거듭 "한국에서 계속 사업하고 싶다"고 강조하며 한국GM에 빌려준 차입금 전액 출자전환, 2개 종류 신차 배정, 신차 생산시설·연구개발(R&D) 신규 투자 등 나름대로 현실성 있고 굵직한 회생 방안을 비교적 발 빠르게 내놓았다.
정부와 2대 산업은행도 '문서화'를 꾸준히 요구하긴 했지만 대체로 GM의 이런 자구 계획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GM 경영 실사도 시작됐다.
◇ 2조3천억 자금난 몰려…이사회, GM에 채권 회수 보류 요청하기로
하지만 2월 초 상견례로 시작된 2018년도 임단협 교섭이 한 달 20여 일간 진척 없이 헛돌면서, 한국GM 안팎의 분위기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자금난과 신차 배정이다.
현재 한국GM은 카젬 사장의 말처럼 당장 4월 6일 작년도 성과급의 절반(1인당 약 450만원)을 주는 데 필요한 720억원(450만원×1만6천명)조차 마련하기 버거운 실정으로 알려졌다.
한국GM 관계자는 "지난주에는 팀장급 이상 약 500명의 작년도 성과급 전체 지급이 보류됐고, 이 상태라면 6일 직원들 성과급 지급도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4월 말에는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2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한 약 2천600명에 위로금도 지급해야 한다.
2~3년 치 연봉, 평균 2억원으로만 계산해도 약 5천억원의 현금이 필요하다.
차입금 문제도 심각하다.
한국GM은 이달 말 다시 GM으로부터 빌린 7천억원 차입금의 만기를 맞는다.
GM은 지난해 말 7천억원의 채권 만기를 올해 2월 말로 연장했고, 지난달 23일 이사회에서도 만기를 '3월 말'로 한 차례 더 늦췄다.
따라서 GM은 이달 말 돌아오는 채권의 만기를 다시 연장할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뿐 아니라 한국GM 감사보고서(2016년 말 기준)에 따르면 4월 1일부터 8일까지 무려 9천880억원의 차입금 만기도 줄줄이 돌아온다.
대부분 2012년 이후 2016년까지 'GM 홀딩스 LLC' 등 GM 본사와 계열사로부터 한국GM이 빌린 돈으로, 이자율은 4.8~5.3% 수준이다.
결국, 4월 말까지 차입금 만기 연장에 실패할 경우 한국GM은 약 2조3천억원(7천억+9천880억+5천억+720억원)을 어디서 빌려서라도 조달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28일 열린 한국GM 이사회에서도 이 심각한 '유동성' 부족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는 GM 본사에 각각 이달 말과 4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한국GM의 7천억원, 9천880억원 차입금 만기 연장을 요청하기로 했지만, 최근 달라진 GM 내부 분위기로 미뤄 연장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신차 배정도 무산 위기…한국GM 사측의 교섭 독촉도 사라져
부평공장 스포츠유틸리티카(SUV), 창원공장 크로스오버유틸리티(다목적차량·CUV) 신차 배정 시한도 임박했다.
한국GM 관계자는 "3월 초부터 본사의 글로벌 신차 배정 논의가 시작됐지만, 한국GM 상황 때문에 확정 발표가 늦춰지고 있다"며 "하지만 다른 나라 사업장들의 생산 일정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3월 말 이후까지 신차 배정을 더 미루기 어렵다는 게 본사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최근 GM의 경영 방침은 채산성과 효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사업장에는 신규 투자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라며 "사측이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노사 교섭에서 포괄적이나마 인건비 절감 등을 포함한 '임단협 합의'가 도출돼야 한다고 노조에 호소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GM과 한국GM의 입장은 '임단협 잠정합의를 통한 흑자구조, 자구계획 완성'이라는 마지막 퍼즐이 끼워지지 않으면 GM본사와 산은, 한국 정부 등 나머지 이해당사자들의 회생 계획이 모두 원점으로 돌아가고, 정리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임단협이 중요한데도, 최근 한국GM 사측이 예전과 달리 노조에 실무적으로 직접 교섭을 요청하는 횟수가 오히려 줄었다는 점도 눈에 띈다.
28일 노조는 앞서 자신들이 공개한 요구안을 놓고 교섭을 재개하자고 사측에 보냈고, 사측은 29일 교섭을 통해 사측 수정안을 검토하자는 답을 보내긴 했지만 지난 1주일간 사측이 교섭을 먼저 제안한 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국GM 안팎에서는 GM이 완전 철수, 엔지니어링·디자인센터 등을 남긴 부분 철수, 군산공장 이어 생산시설 일부(창원공장 가능) 추가 철수, 생산 완전 철수 후 판매 기능만 잔류 등의 철수 시나리오가 갑자기 쏟아지고 있다.한국GM 관계자는 철수설의 진위에 대해 "알 수 없는 일"이라며 "군산공장 폐쇄 당시에도 본사 GM은 한국GM 직원들에게 미리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예측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