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내 집 장만, 한 푼도 안 쓰고 9년 모아야
입력
수정
서초구 연소득 대비 집값 가장 높아…20.8년 모아야 내집 장만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9년 가까이 돈을 모아야 서울에서 내 집 장만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8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발표한 '2017년도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연 소득 대비 9배 가까이 높았다.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가 중위수 기준 8.8배다.
이는 국토부가 선정한 표본 8천 가구에 서울시 추가 표본 8천 가구를 더해 총 1만6천169가구를 조사·분석한 결과다.PIR 산정에 기준이 되는 응답자의 연평균 소득과 집값은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해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서울에서도 특히 서초, 강남, 용산구의 연 소득 대비 집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PIR는 20.8배, 강남구는 18.3배, 용산구는 13.1배였다.21년 가까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고스란히 모으면 서초구에서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서울에 사는 전체 가구의 71.3%는 임대료나 대출 상환금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은 전·월세를 사는 임차가구(83.3%)가 자가 가구(71.3%)보다 높았다.서울에 사는 세입자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은 12.7%(중위수 기준)였다.세입자 24%(48만 가구)는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과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25%를 넘거나 임대료와 관리비를 포함한 비용이 30% 이상을 차지한다면 주거비 부담이 과한 수준으로 본다.
본인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점유 비율은 42.9%로 1년 새 0.9%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의 자가 점유 비율은 전국 평균(57.7%)보다는 낮은 편이다.
서울 내에선 도봉구(60.2%), 노원구(51.1%), 양천구(50.5%)의 자가 점유율이 높았다.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청년 가구의 자가 점유율은 19.1%였다.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 비중은 서울이 47.9%로, 전국 평균(60.4%)보다 낮았다.
월세가구 비중은 청년 가구, 1인 가구, 평균소득 70% 이하 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은 지 30년이 넘은 주택에는 15.5%, 15년 넘은 주택에는 63.9%가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에서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율은 76.8%였다.
전국 평균(82.8%)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특히 청년 가구는 68.3%가 주택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해 전체 평균보다 주택 보유 필요성을 낮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조사 결과를 '2025 서울시 주거종합계획'에 반영해 임대주택 확충, 주거 안정 보장, 맞춤형 주거 지원 등을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가 중위수 기준 8.8배다.
이는 국토부가 선정한 표본 8천 가구에 서울시 추가 표본 8천 가구를 더해 총 1만6천169가구를 조사·분석한 결과다.PIR 산정에 기준이 되는 응답자의 연평균 소득과 집값은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해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서울에서도 특히 서초, 강남, 용산구의 연 소득 대비 집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PIR는 20.8배, 강남구는 18.3배, 용산구는 13.1배였다.21년 가까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고스란히 모으면 서초구에서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서울에 사는 전체 가구의 71.3%는 임대료나 대출 상환금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은 전·월세를 사는 임차가구(83.3%)가 자가 가구(71.3%)보다 높았다.서울에 사는 세입자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은 12.7%(중위수 기준)였다.세입자 24%(48만 가구)는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과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25%를 넘거나 임대료와 관리비를 포함한 비용이 30% 이상을 차지한다면 주거비 부담이 과한 수준으로 본다.
본인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점유 비율은 42.9%로 1년 새 0.9%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의 자가 점유 비율은 전국 평균(57.7%)보다는 낮은 편이다.
서울 내에선 도봉구(60.2%), 노원구(51.1%), 양천구(50.5%)의 자가 점유율이 높았다.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청년 가구의 자가 점유율은 19.1%였다.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 비중은 서울이 47.9%로, 전국 평균(60.4%)보다 낮았다.
월세가구 비중은 청년 가구, 1인 가구, 평균소득 70% 이하 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은 지 30년이 넘은 주택에는 15.5%, 15년 넘은 주택에는 63.9%가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에서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율은 76.8%였다.
전국 평균(82.8%)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특히 청년 가구는 68.3%가 주택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해 전체 평균보다 주택 보유 필요성을 낮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조사 결과를 '2025 서울시 주거종합계획'에 반영해 임대주택 확충, 주거 안정 보장, 맞춤형 주거 지원 등을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