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기업 규제 강화하겠다"는 정부, 경제환경 제대로 읽고 있나
입력
수정
지면A35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집단 규제를 공정거래법에서 떼어내 별도로 법제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한다. 공정거래법 제정 38년 만의 전면 개편안이라기에 급변하는 경제환경을 고려할 줄 알았지만, 흘러가는 방향은 그게 아니다. 공정위가 대기업을 더 압박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공정위는 “현행 공정거래법 체계의 정합성과 완결성이 미흡하다”며 별도법 추진의 불가피성을 주장한다. 지금의 법이 독과점 담합 등 불공정 규제뿐 아니라 성격이 완전히 다른 대기업 지배구조 규제도 포괄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는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공정위가 성격이 다르다고 한 대기업집단 관련 규제는 다른 나라 공정거래법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한국만 이상한 법 체계를 갖게 된 것은 1986년 ‘경제력 집중을 억제한다’는 명목으로 대기업 규제가 도입되면서부터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국내 시장을 기준으로 경제력 집중을 따진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경제력 집중으로 따지면 우리나라보다 더한 강소국들도 이러지 않는다.
4차 산업혁명 등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가 몰아치는 상황이다.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 경쟁을 벌여야 할 판국에 대기업의 손발을 묶는 것은 무장해제나 다름없다. 대기업집단 규제는 대기업에만 악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다. 중소·중견기업들이 ‘기업 쪼개기’를 해서라도 대기업으로의 성장을 꺼릴 것은 당연하다. 대기업이 인수·합병에 적극 나설 수 없으니 스타트업 생태계도 살아날 수 없다. 기업가 정신이 망가지면서 경제 전체가 활력을 잃고 만다.
일각에서는 “공정위가 현 정부 들어 인원과 조직을 늘린 결과가 어느 나라에도 없는 대기업 규제법이냐”는 지적도 나온다. 공정위가 급변하는 경제환경을 제대로 읽는다면 별도 규제법을 만들 게 아니라, 대기업집단 규제 자체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공정위는 “현행 공정거래법 체계의 정합성과 완결성이 미흡하다”며 별도법 추진의 불가피성을 주장한다. 지금의 법이 독과점 담합 등 불공정 규제뿐 아니라 성격이 완전히 다른 대기업 지배구조 규제도 포괄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는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공정위가 성격이 다르다고 한 대기업집단 관련 규제는 다른 나라 공정거래법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한국만 이상한 법 체계를 갖게 된 것은 1986년 ‘경제력 집중을 억제한다’는 명목으로 대기업 규제가 도입되면서부터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국내 시장을 기준으로 경제력 집중을 따진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경제력 집중으로 따지면 우리나라보다 더한 강소국들도 이러지 않는다.
4차 산업혁명 등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가 몰아치는 상황이다.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 경쟁을 벌여야 할 판국에 대기업의 손발을 묶는 것은 무장해제나 다름없다. 대기업집단 규제는 대기업에만 악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다. 중소·중견기업들이 ‘기업 쪼개기’를 해서라도 대기업으로의 성장을 꺼릴 것은 당연하다. 대기업이 인수·합병에 적극 나설 수 없으니 스타트업 생태계도 살아날 수 없다. 기업가 정신이 망가지면서 경제 전체가 활력을 잃고 만다.
일각에서는 “공정위가 현 정부 들어 인원과 조직을 늘린 결과가 어느 나라에도 없는 대기업 규제법이냐”는 지적도 나온다. 공정위가 급변하는 경제환경을 제대로 읽는다면 별도 규제법을 만들 게 아니라, 대기업집단 규제 자체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