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주의 마켓 투자 키워드]

>

1. 최근 증시가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변동성이 매우 커졌습니다. 먼저 그 배경부터 살펴볼 수 있을까요?S&P 500의 경우 주가가 하루에 1% 넘게 움직인 날이 2017년 한 해 동안 8번 밖에 없었음. 그런데 작년 12월 한 달 동안 9번. 올 들어서도 변동폭은 더 커짐

우선 애플 실적 하향조정이 중국 판매 위축 때문이라는 소식에 큰 영향. 일각에서는 애플이 중국 local 업체에게 점유율을 뺏긴 부분도 있다고 지적하지만 중국 내 자동차 및 주택 판매 위축, PMI 지수 하락 등 소비 위축 증거는 충분. 그 동안 중국경제는 투자 cycle에 의해 좌우됐는데 이제는 소비가 타격 받는 수준까지 악화되어 재고 축소(destocking)으로 진행. 한국 수출감소도 글로벌 destocking의 증거. 결국 트럼프 이기주의로 인해 중국 등 세계 소비가 위축되고, 그것이 미국기업의 실적에 영향. 즉 미국으로 전염되기 시작. 따라서 첫째, 트럼프가 중국과 화해할 것이란 추측. 여기에 중국도 부양책 준비.

둘째, Fed도 사태의 심각성을 알고 dovish한 입장으로 선회. 작년 연말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라는 surprise를 줄 가능성을 예상했는데 벌써 시장에서 그런 기대.- 향후 증시에 우호적인 정책을 기대하는 측과 미-중 갈등의 요인이 구조적이고, 글로벌destocking도 이제 시작이라고 걱정하는 측이 갈리며 변동성 확대.

- 지금 증시는 경제가 아니라 정치가 만들었으므로 확인 후 따라가는 것이 답. (기업실적보다는 유동성이 증시 거품을 만들었음)

2. 그렇다면 교수님께서는 지금까지의 증시 하락에도 불구하고 아직 진바닥을 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십니까?역사적으로 증시가 무너졌을 때 반토막났다가 2배 올라서 제자리로 옴. 그 기간이 과거에는 7-8년 걸렸다가 리만사태때는 3-4년으로 짧아짐. 그만큼 강한 정책으로 개입했던 결과. 그런데 S&P 500이 전고점 대비 17% 조정/ 코스피 조정폭도 22%). 또 조정 기간도 아직 4개월에 불과. 물론 지금은 과거와 달리 문제들을 알고 있어 대처가 빠를 수 있음

그런데 시장에서 기대하는 미-중의 부양책이 얼마나 될지, 또 그 부작용에 대해서도 의문

- 사실 리만사태가 빠르게 극복될 수 있었던 요인은 미국에서 풀린 돈이 (1조달러 가까이) 중국으로 와 투자됐고, 중국 자체도 4조위안 (0.6조달러)가량 풀어 부양. 그러나 이제는 다 타버린 경제. 더욱이 그 후유증으로 인해 고생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시장의 기대와 달리) 무모한 부양은 지양할 것.- 미국도 온갖 부양책을 써 자산가격을 올렸지만 소비가 확대되는 낙수효과는 없었음. 즉 이제는 부양을 해도 소비 순증보다는 부의 불균형만 확대. 부양 때문에 core CPI가 2.3%까지 상승했는데 이 숫자를 믿지 않음 (중국의 경제성장률처럼 cheated = 자의적 평가). 그 만큼 부의 불균형이 심각 (부양의 어려움)

주가는 전고점까지는 회복되는 습성. 그렇지 않으면 경제시스템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 단, 소요기간이 문제. 개인이 평생 저축해서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이 15-20년 정도임을 감안할 때 3-4년 또는 7-8년 동안 crisis를 견디는 것은 무모 (워렌버펫도 market timing을 안 한다고 하지만 shock은 피함)

3. 부의 불균형을 시정하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까? 혹시 이것이 증시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저성장이 고착화되자 기업들이 투자를 통한 성장보다는 이해관계자들 (종업원, 고객, 지역사회, 채권자들)과 이익을 공유하고, 주식을 종업원들에게 할당하여 동기부여를 일으키는 등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둬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하기 시작. (주주 우선주의의 후퇴)

최근 (2020년 미국 대선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상원 의원인 엘리자베스 워렌은 기업이 이익을 종업원 쪽으로 더 배분하고, 이사회 의결권의 40%도 종업원이 차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 영국의 노동당도 종업원들의 실질임금이 제자리에 머무는 상태이므로 주주들의 이익을 종업원으로 더 돌려야 하고, 대기업 주식의 10%를 점진적으로 종업원들에게 넘겨야 한다고 주장.

이렇게 시장 원리를 무시한 태도는 주가 하락 요인. 1) 주주들의 투자 의욕 상실 (자산매도 압력/ 이런 모습이 구체화되면 당장 나눠줄 것이 많은 배당주 보다는 미래 이익에 의존하는 신경제 성장주를 선호). 2) (의사결정에 이해관계자가 많아지면) 신속한 의사결정이 어려워 투자기회 상실/ 일관성 없는 의사결정으로 투자실수 = 주주들의 부를 가장 훼손하는 것. 3) 종업들에게 주식을 줘야 하는 만큼 자본조달비용 증가

결국 이런 법안이 통과되면 증시에 악영향. 한국도 부의 불균형이 심각해질수록 증시에 불리할 것. 왜냐하면 정책입안자들이 증권을 통해 부를 축적하지 않았기 때문에 증시에 불리한 세금 정책.

4. 지난해 남북경협 issue도 뜨거웠다가 식고 말았는데요. 올해 북-미 협상을 앞두고 들썩이는 모습입니다. 재점화될 가능성은 없습니까?

미국이 무역전쟁을 벌이고, 시리아에서 철군하고, 한국에게 방위비 증액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인터폴로서의 위상 약화를 의미. 그 동안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중국을 포함한 신흥시장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한 만큼 이제는 미국이 커져버린 세계를 홀로 끌고 가기는 역부족.

- 이 경우 그 영향이 가장 직접적으로 오는 곳이 한반도.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아 팽팽히 맞섰던 한반도에서 미-중의 통제력이 느슨해지기 시작. 따라서 우리도 변해야 하는 시기는 맞음

그러나 미-중 눈치를 보며 해법을 찾으면 답이 없음. 그들은 서로 패권다툼을 하고 있기 때문. 결국 한국과 북한이 자체적으로 해법을 찾아야 함.

- 북한이 할 일은 핵을 폐기하거나 적어도 핵사찰을 통해 핵이 미국을 향하지 않음을 입증. (그러면 인도, 파키스탄 핵처럼 용인될 가능성). 김정은은 작년 4월 군사-경제 병진 전략을 철회. 즉 군사력 증강이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접고, 경제 중심으로 선회. 따라서 시간이 갈수록 미국의 신뢰를 얻을 것. 그러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 그가 `주체`라는 말을 사용한다는 자체가 경협에서도 극적인 deal을 하기 어려움을 의미.

- 한국도 북한이 핵을 포기했을 때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준비 안됨.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등은 지속성이 없음. 결국 민간 기업이 북한과 사업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함.

투자는 timing이 결정적. 남북경협은 장차 가시화되겠지만 남북한 모두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뉴스에 의한 단기적 등락은 가능하지만) 당장 테마로 선정되기는 무리

김홍우PD kimhw@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

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

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

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