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8개월 만에 동반↓(종합2보)
입력
수정
경기동행지수 하락…선행지수는 2개월째 상승
통계청 "전망 관련 긍정적 신호가 강해지고 있지만 경기 바닥 판단 이르다"
정부 "재정 집행 차질 없이 추진…내년 경기 반등 정책 발굴" 지난 10월 산업활동동향 3대 지표인 생산·투자·소비가 8개월 만에 모두 감소했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개월째 상승했지만,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했다.
통계청은 경기 전망을 두고 긍정적인 신호가 강해지고 있지만, 경기가 바닥을 쳤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판단했다.
정부는 올해 남은 기간 재정 집행에 힘을 쏟으며 내년 경기 반등 모멘텀(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겠다는 계획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산업생산(계절 조정, 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4% 감소했다.
전월과 비교한 산업생산은 9월 -0.4%로 석 달 만에 감소로 돌아선 뒤 2개월째 감소를 이어갔다.
서비스업과 건설업이 증가로 전환했음에도 자동차, 전자부품 등을 중심으로 광공업 생산이 감소하면서 산업생산이 감소를 나타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분야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이 전월보다 1.7% 감소했다.
반도체 등이 증가했으나 자동차, 전자부품 등이 줄어 제조업은 전월 대비 1.5% 감소했다.
자동차는 레저용차량(RV)은 증가세이지만 중대형 승용차, 세단형 차량의 생산과 판매가 부진한 것이 영향을 미쳤고, 전자부품은 최근 글로벌 공급 과잉과 중국의 저가 공급으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광공업 출하는 제조업, 전기·가스업이 줄어들어 전월보다 2.1% 감소했다.
올해 2월(-2.7%)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반도체 출하는 6.4% 감소했다.
반도체 재고는 8.6%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석유정제, 자동차 등에서 감소했으나 반도체, 1차 금속 등이 늘어 전월 대비 0.2% 증가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로 작년 8월부터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도 자동차, 기계장비 등이 줄면서 전월 대비 3.1% 감소했다.
올해 2월(-4.6%)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을 나타내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2%로 전월보다 2.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올해 6월(72.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제조업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 금융·보험 등에서 감소했으나 숙박·음식점, 정보통신 등이 늘어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숙박·음식업은 3.1%, 정보통신은 1.9%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도소매는 1.1%, 금융·보험은 0.8% 각각 감소했다.
숙박·음식업은 2015년 7월(8.3%)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었다.
태풍에 따른 기상 여건 악화로 감소폭이 컸던 9월 기저효과와 단풍철 야외활동 증가의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전월보다 0.5% 감소했다.
1∼10월 누계로 봤을 때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했다.
소매 판매는 지난 8월 3.9% 증가해 8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가 9월 -2.3%로 다시 감소로 전환한 데 이어 2개월째 감소를 이어갔다.
통신기기·컴퓨터는 늘었지만 승용차, 가전제품, 가구는 줄면서 내구재 판매가 전월보다 2.3% 줄었다.
의복을 중심으로 준내구재 판매도 2.8% 줄었다.
음식료 등 비내구재 판매는 1.4% 증가했다.
지난달 설비 투자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1∼10월 누계로 보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5% 줄었다.
설비 투자는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기저효과 등으로 10월 감소로 전환했다.
건설업체의 실제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보다 1.7% 증가했다.
2조8천억원 규모의 인천 대형 도시개발 사업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1∼10월 누계로 보면 7.5% 감소했다.
향후 건설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건설 수주(경상)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33.3% 증가했다.
경기 지표는 엇갈렸다.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져 9월 보합 이후 하락 전환했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올라 2개월째 상승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두 달 연속 상승한 것은 2017년 4~6월 이후 28개월 만에 처음이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수치상으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두 달 연속 상승했고 건설수주액 같은 투자지표가 좋아지는 등 향후 경기 전망과 관련해 긍정적인 신호가 강해졌다"며 "다만 아직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한 만큼 현 상태에서 (바닥을 쳤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리스크 관리에 전력을 기울이면서 올해 남은 기간 이월·불용을 최소화하는 등 재정 집행과 정책금융·무역금융 집행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민간 활력을 높여 경기 반등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도록 경제 활력 제고 과제를 발굴해 내년 경제정책방향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통계청 "전망 관련 긍정적 신호가 강해지고 있지만 경기 바닥 판단 이르다"
정부 "재정 집행 차질 없이 추진…내년 경기 반등 정책 발굴" 지난 10월 산업활동동향 3대 지표인 생산·투자·소비가 8개월 만에 모두 감소했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개월째 상승했지만,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했다.
통계청은 경기 전망을 두고 긍정적인 신호가 강해지고 있지만, 경기가 바닥을 쳤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판단했다.
정부는 올해 남은 기간 재정 집행에 힘을 쏟으며 내년 경기 반등 모멘텀(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겠다는 계획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산업생산(계절 조정, 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4% 감소했다.
전월과 비교한 산업생산은 9월 -0.4%로 석 달 만에 감소로 돌아선 뒤 2개월째 감소를 이어갔다.
서비스업과 건설업이 증가로 전환했음에도 자동차, 전자부품 등을 중심으로 광공업 생산이 감소하면서 산업생산이 감소를 나타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분야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이 전월보다 1.7% 감소했다.
반도체 등이 증가했으나 자동차, 전자부품 등이 줄어 제조업은 전월 대비 1.5% 감소했다.
자동차는 레저용차량(RV)은 증가세이지만 중대형 승용차, 세단형 차량의 생산과 판매가 부진한 것이 영향을 미쳤고, 전자부품은 최근 글로벌 공급 과잉과 중국의 저가 공급으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광공업 출하는 제조업, 전기·가스업이 줄어들어 전월보다 2.1% 감소했다.
올해 2월(-2.7%)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반도체 출하는 6.4% 감소했다.
반도체 재고는 8.6%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석유정제, 자동차 등에서 감소했으나 반도체, 1차 금속 등이 늘어 전월 대비 0.2% 증가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로 작년 8월부터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도 자동차, 기계장비 등이 줄면서 전월 대비 3.1% 감소했다.
올해 2월(-4.6%)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을 나타내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2%로 전월보다 2.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올해 6월(72.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제조업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 금융·보험 등에서 감소했으나 숙박·음식점, 정보통신 등이 늘어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숙박·음식업은 3.1%, 정보통신은 1.9%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도소매는 1.1%, 금융·보험은 0.8% 각각 감소했다.
숙박·음식업은 2015년 7월(8.3%)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었다.
태풍에 따른 기상 여건 악화로 감소폭이 컸던 9월 기저효과와 단풍철 야외활동 증가의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전월보다 0.5% 감소했다.
1∼10월 누계로 봤을 때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했다.
소매 판매는 지난 8월 3.9% 증가해 8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가 9월 -2.3%로 다시 감소로 전환한 데 이어 2개월째 감소를 이어갔다.
통신기기·컴퓨터는 늘었지만 승용차, 가전제품, 가구는 줄면서 내구재 판매가 전월보다 2.3% 줄었다.
의복을 중심으로 준내구재 판매도 2.8% 줄었다.
음식료 등 비내구재 판매는 1.4% 증가했다.
지난달 설비 투자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1∼10월 누계로 보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5% 줄었다.
설비 투자는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기저효과 등으로 10월 감소로 전환했다.
건설업체의 실제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보다 1.7% 증가했다.
2조8천억원 규모의 인천 대형 도시개발 사업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1∼10월 누계로 보면 7.5% 감소했다.
향후 건설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건설 수주(경상)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33.3% 증가했다.
경기 지표는 엇갈렸다.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져 9월 보합 이후 하락 전환했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올라 2개월째 상승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두 달 연속 상승한 것은 2017년 4~6월 이후 28개월 만에 처음이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수치상으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두 달 연속 상승했고 건설수주액 같은 투자지표가 좋아지는 등 향후 경기 전망과 관련해 긍정적인 신호가 강해졌다"며 "다만 아직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한 만큼 현 상태에서 (바닥을 쳤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리스크 관리에 전력을 기울이면서 올해 남은 기간 이월·불용을 최소화하는 등 재정 집행과 정책금융·무역금융 집행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민간 활력을 높여 경기 반등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도록 경제 활력 제고 과제를 발굴해 내년 경제정책방향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