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으로 쌓아 올린 감정의 탑…이보 포고렐리치의 쇼팽
입력
수정
15년 만에 내한공연…피아노 리사이틀 리뷰
관객들은 공연 시작 30분 전부터 콘서트홀 입장이 허락됐다. 무대에 설치된 피아노 앞에서 한 남자가 이미 피아노를 치고 있었다.
빨간색 목도리, 검은색 계열 털모자, 허리에 두른 체크무늬 담요.
허름한 모습의 덩치 큰 이 남자는 한때 미남 피아니스트로, 기행으로 이름을 떨친 이보 포고렐리치(62)였다. 주위에 신경 쓰지 않고, 이날 연주할 쇼팽 전주곡에만 집중하는 듯 보였다.
희미한 불빛 아래, 조명이 대부분 꺼진 무대에서, 포고렐리치는 조용히 건반을 두드렸다.
맑고도 깊은 피아노 소리가 콘서트홀에 조용히 울려 퍼졌다. 그 사이 관객들은 휴대전화나 프로그램 북을 들여다봤다.
일부는 소곤소곤 담소를 나누기도 했다.
그렇게 30분이 흘렀다. 포고렐리치는 연미복으로 갈아입은 후 무대에 앉아 차분히 바흐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15년 만에 내한한 포고렐리치가 지난 19일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국내 관객에게 선보인 첫 곡은 바흐의 '영국 모음곡 3번'이었다.
호불호가 느껴질 만한 해석으로, 전통적인 연주 스타일과는 확연히 달랐다.
영롱하고, 맑으며 감정 기복이 잘 느껴지지 않는 이 평온한 곡은 포고렐리치 손을 거치며 감정의 파고가 깊어졌다.
프렐류드는 유려했지만 둔탁했고, 사라반드는 지나치게 비장했다.
바흐 음악이라기보다는 베토벤 작품처럼 느껴질 정도였다.
두 번째 곡인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1번'은 전반적으로 박력이 넘쳤다.
2악장은 바흐 곡보다 더 영롱했고, 마지막 4악장의 '론도: 알레그레토'는 질주하는 경주마 같은 거친 힘과 속도가 느껴졌다.
반복되는 주제와 삽입부는 회를 거듭할수록 이전 음들이 켜켜이 쌓이며 커다란 에너지를 만들어냈다.
세 번째 곡으로 선보인 쇼팽의 '뱃노래'도 뛰어난 강약조절로 이목을 끌었다.
부드러울 때는 한없이 부드러웠지만, 힘줄 부분에선 뱃사람의 기백이 느껴질 정도로 타건의 힘이 강력하고 묵직했다.
그의 대표 레퍼토리 중 하나인 라벨 '밤의 가스파르'는 마지막 곡으로 선보였는데,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훌륭했다.
'물의 요정 옹딘'에선 물 위를 걷는 요정의 빠른 발걸음을 보여줬고, '스카르보'에선 초절 기교로 관객들의 심장을 들었다 놨다 했다. 포고렐리치는 이날 바로크부터 인상주의까지 넘나들었다.
대단히 넓은 연주 스펙트럼인데, 일부는 좋았고, 일부는 고개를 갸웃하게 했다.
하지만 네 번째 곡으로 선보인 쇼팽 '전주곡 C# 단조'만큼은 진정 탁월했다.
1980년 쇼팽 콩쿠르부터 대담하고 파격적인 연주로 논란의 대상이 됐던 포고렐리치는 수십 년간 쇼팽을 치면서 곡에 담긴 군더더기 감정들을 모두 걷어낸 듯 보였다.
그가 연주한 쇼팽은 마치 생물인 양, 관객 숨소리마저 빨아들이며 슬픔의 감정을 키워갔다.
음악은 시간의 예술이라 포고렐리치가 쌓아놓은 음은 곧 공기 중으로 흩어졌지만, 그가 남긴 감정의 정수는 씨앗이 되어 관객들 마음속에서 자랄 것 같았다. 포고렐리치는 '전주곡'에 이어 '밤의 가스파르'를 연주한 후, 쇄도하는 박수를 뒤로한 채 막스 오퓔스의 영화에나 나올 법한 지극히 우아한 인사와 함께 앙코르곡 없이 무대를 빠져나갔다. /연합뉴스
관객들은 공연 시작 30분 전부터 콘서트홀 입장이 허락됐다. 무대에 설치된 피아노 앞에서 한 남자가 이미 피아노를 치고 있었다.
빨간색 목도리, 검은색 계열 털모자, 허리에 두른 체크무늬 담요.
허름한 모습의 덩치 큰 이 남자는 한때 미남 피아니스트로, 기행으로 이름을 떨친 이보 포고렐리치(62)였다. 주위에 신경 쓰지 않고, 이날 연주할 쇼팽 전주곡에만 집중하는 듯 보였다.
희미한 불빛 아래, 조명이 대부분 꺼진 무대에서, 포고렐리치는 조용히 건반을 두드렸다.
맑고도 깊은 피아노 소리가 콘서트홀에 조용히 울려 퍼졌다. 그 사이 관객들은 휴대전화나 프로그램 북을 들여다봤다.
일부는 소곤소곤 담소를 나누기도 했다.
그렇게 30분이 흘렀다. 포고렐리치는 연미복으로 갈아입은 후 무대에 앉아 차분히 바흐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15년 만에 내한한 포고렐리치가 지난 19일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국내 관객에게 선보인 첫 곡은 바흐의 '영국 모음곡 3번'이었다.
호불호가 느껴질 만한 해석으로, 전통적인 연주 스타일과는 확연히 달랐다.
영롱하고, 맑으며 감정 기복이 잘 느껴지지 않는 이 평온한 곡은 포고렐리치 손을 거치며 감정의 파고가 깊어졌다.
프렐류드는 유려했지만 둔탁했고, 사라반드는 지나치게 비장했다.
바흐 음악이라기보다는 베토벤 작품처럼 느껴질 정도였다.
두 번째 곡인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1번'은 전반적으로 박력이 넘쳤다.
2악장은 바흐 곡보다 더 영롱했고, 마지막 4악장의 '론도: 알레그레토'는 질주하는 경주마 같은 거친 힘과 속도가 느껴졌다.
반복되는 주제와 삽입부는 회를 거듭할수록 이전 음들이 켜켜이 쌓이며 커다란 에너지를 만들어냈다.
세 번째 곡으로 선보인 쇼팽의 '뱃노래'도 뛰어난 강약조절로 이목을 끌었다.
부드러울 때는 한없이 부드러웠지만, 힘줄 부분에선 뱃사람의 기백이 느껴질 정도로 타건의 힘이 강력하고 묵직했다.
그의 대표 레퍼토리 중 하나인 라벨 '밤의 가스파르'는 마지막 곡으로 선보였는데,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훌륭했다.
'물의 요정 옹딘'에선 물 위를 걷는 요정의 빠른 발걸음을 보여줬고, '스카르보'에선 초절 기교로 관객들의 심장을 들었다 놨다 했다. 포고렐리치는 이날 바로크부터 인상주의까지 넘나들었다.
대단히 넓은 연주 스펙트럼인데, 일부는 좋았고, 일부는 고개를 갸웃하게 했다.
하지만 네 번째 곡으로 선보인 쇼팽 '전주곡 C# 단조'만큼은 진정 탁월했다.
1980년 쇼팽 콩쿠르부터 대담하고 파격적인 연주로 논란의 대상이 됐던 포고렐리치는 수십 년간 쇼팽을 치면서 곡에 담긴 군더더기 감정들을 모두 걷어낸 듯 보였다.
그가 연주한 쇼팽은 마치 생물인 양, 관객 숨소리마저 빨아들이며 슬픔의 감정을 키워갔다.
음악은 시간의 예술이라 포고렐리치가 쌓아놓은 음은 곧 공기 중으로 흩어졌지만, 그가 남긴 감정의 정수는 씨앗이 되어 관객들 마음속에서 자랄 것 같았다. 포고렐리치는 '전주곡'에 이어 '밤의 가스파르'를 연주한 후, 쇄도하는 박수를 뒤로한 채 막스 오퓔스의 영화에나 나올 법한 지극히 우아한 인사와 함께 앙코르곡 없이 무대를 빠져나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