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삼킨 일자리…숙박·음식점업 종사자, 2월 5만3천명이나 급감
입력
수정
지면A3
지난 2월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6만3000명(0.9%) 늘어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9년 이후 가장 적게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가 정부 통계로도 확인된 것이다.
고용노동부가 31일 발표한 ‘2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848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9% 늘었다. 지난해부터 매월 30만 명 안팎의 증가세를 보여오다가 반토막이 났다.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이번 조사 결과는 2월 23일 감염병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된 이후 처음으로 집계된 사업체 고용지표”라며 “코로나19의 영향이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위협은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전체 종사자의 85%가 있는 300인 미만 사업장의 종사자 수는 1557만9000명으로 9만8000명(0.6%) 늘었다. 전월 증가치(22만1000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반면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6만5000명(2.3%) 늘어 전월(6만8000명)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업종별로는 대면접촉이 불가피한 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텔업을 비롯한 숙박·음식점업 종사자가 120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3000명(4.2%) 급감했다. 여행사와 렌터카업체 등이 포함된 사업시설·임대서비스업 종사자는 113만2000명으로 1만2000명(1.0%) 감소했다. 공연업 등 예술·스포츠서비스업 종사자는 31만1000명으로 같은 기간 6000명(2.0%) 줄었다. 정부는 지난 16일 여행업·관광숙박업·운송업·공연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했다.
지역별로는 코로나19의 피해가 집중된 대구·경북과 경남에서 숙박음식점과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종사자 수가 약 6000명 줄었다.이번 조사는 1인 자영업자와 대리운전 기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를 아우르지 못하는 데다 심각 단계의 코로나19 상황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3월 통계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임 차관은 “3월 고용 통계에서는 온전히 심각단계로 들어선 이후 악화된 고용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고용노동부가 31일 발표한 ‘2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848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9% 늘었다. 지난해부터 매월 30만 명 안팎의 증가세를 보여오다가 반토막이 났다.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이번 조사 결과는 2월 23일 감염병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된 이후 처음으로 집계된 사업체 고용지표”라며 “코로나19의 영향이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위협은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전체 종사자의 85%가 있는 300인 미만 사업장의 종사자 수는 1557만9000명으로 9만8000명(0.6%) 늘었다. 전월 증가치(22만1000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반면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6만5000명(2.3%) 늘어 전월(6만8000명)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업종별로는 대면접촉이 불가피한 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텔업을 비롯한 숙박·음식점업 종사자가 120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3000명(4.2%) 급감했다. 여행사와 렌터카업체 등이 포함된 사업시설·임대서비스업 종사자는 113만2000명으로 1만2000명(1.0%) 감소했다. 공연업 등 예술·스포츠서비스업 종사자는 31만1000명으로 같은 기간 6000명(2.0%) 줄었다. 정부는 지난 16일 여행업·관광숙박업·운송업·공연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했다.
지역별로는 코로나19의 피해가 집중된 대구·경북과 경남에서 숙박음식점과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종사자 수가 약 6000명 줄었다.이번 조사는 1인 자영업자와 대리운전 기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를 아우르지 못하는 데다 심각 단계의 코로나19 상황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3월 통계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임 차관은 “3월 고용 통계에서는 온전히 심각단계로 들어선 이후 악화된 고용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