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천여개 5G 실내기지국 구축…28㎓ 대역망도 구축

5G+ 전략위원회 영상회의…5G 장비 점유율 20% 이상 목표
5G 상용화 1년, 가입자 577만명·기지국 11만5천국 구축

정부는 올해 안에 5G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2천여개 시설에 실내 기지국을 설치하기로 했다. 또 5G 서비스를 위한 28㎓ 대역망을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5G 네트워크 장비 점유율을 20% 이상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제3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영상회의로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5G 상용화 1년이 지난 현시점에 5G 가입자는 577만명이고, 구축된 기지국은 11만5천국이다. 통신사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상반기에 망 투자규모를 4조원으로 50%가량 확대하고, 영세사업자·소상공인에게 4천200억원의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하철, 공항, 백화점, 중소형 건물 등 2천여개 시설에 5G 실내 기지국을 설치해 커버리지를 확충하기로 했다.

특히 온라인 예배 등 종교활동을 위해 요청할 경우 협의 하에 인빌딩 망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연내 5G 단독방식(SA) 상용화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이동통신3사는 현재 LTE와 5G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5G NSA(비단독방식)를 사용하고 있다.

또 정부는 28㎓ 대역망 구축을 통해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의 5G 특성을 온전히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통신업계는 5G 주파수 대역으로 3.5㎓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3.5㎓ 대역은 LTE보다 속도가 3∼4배 정도 빠르지만, 28㎓ 대역 기지국이 구축되면 네트워크 속도는 최대 20배까지 빨라질 수 있다.

또 정부는 '5G+ 전략산업 분야별 2020년 추진목표와 주요 계획'을 마련하고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6천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추진계획은 ▲ 시장선도 추진분야 ▲ 기반조성 ▲ 기술개발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시장선도 추진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가 세계시장 점유율 2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5G 스마트폰 핵심부품 개발과 28㎓ 단말기 테스트베드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국내 기업이 만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15%를 달성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국내 5G 연관 정보보안 생산액을 전년도보다 211.5% 증가한 679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우리나라에서 제작한 실감콘텐츠가 국내시장 20% 이상 점유할 수 있도록 하고, 5G 스마트공장 200개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 선도를 추진한다.

기반조성 분야를 보면 미래형 드론을 개발하기 위해 5G 통신모듈 개발 등 인프라 구축과 실증을 추진하고, 2027년 이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핵심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또 올해 3개 스마트시티 서비스 실증을 완료하고, 5G·AI(인공지능) 응급의료시스템 기반 조성을 위해 시범사업을 할 계획이다.

이밖에 5G 기반 지능형 CCTV를 개발하고, 커넥티드 로봇을 물류·제조·공공 등의 분야에 시범적으로 도입하며, 에지컴퓨팅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5G 정책 성과 창출을 위해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 추진계획'도 확정했다.

정부는 고혈압, 당뇨, 발열, 복통 등 주요 감염병 증상과 질환을 빠르게 진단·분석할 수 있는 '닥터앤서 2.0' 개발과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처리와 통신·보안 등 완전자율주행 핵심 기술개발 사업 등을 기획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각 부처 전문기관과 민간기관이 참여하는 점검반을 구성해 전략 이행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