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 '주춤'…기대감 커지는 '일상복귀'

생활방역위원회, 2차회의 개최…'생활방역 전환' 논의 속도
"생활방역 전환돼도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되진 않아"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수일간 20명대를 유지하면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기대가 커지고 있다.정부 역시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일상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는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주말 생활방역 전환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1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100명을 넘나들던 하루 신규 확진자는 이달 13일부터 20명대로 떨어지는 등 대폭 감소했다.연일 신규 확진자가 나오지 않고 있는 지역도 있다.

대전, 충북, 전북, 전남, 경남에서는 이달 10일부터 전날까지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가 한명도 나오지 않았다.

이처럼 신규 확진자 발생이 주춤하면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종료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정부가 생활방역 기본조건으로 제시한 '일일 확진자 50명 미만 유지',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 5% 미만'이라는 조건은 이미 갖춰졌다.

단 정부는 지역사회 곳곳에서 감염원을 알 수 없는 환자가 발생하는 만큼 안심하긴 어렵다는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경북 예천에서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감염자 1명이 30여명을 감염시킨 사례를 두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소홀히 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이는 생활방역 체제에 돌입하더라도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같은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전날 열린 2차 생활방역위원회에서도 생활방역 체제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지 등이 논의됐다.

특히 생활방역 체제로 전환했을 때 국민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종료'했다고 오인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잖이 쏟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회의에 참여한 이윤성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장은 "현 상황에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아예 끝나는 게 아니냐' 등 혼란이 있을 수 있어서 관련 용어나 개념을 확실히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생활방역을 사회적 거리두기와 별개로 생각하지 않도록 아예 용어 자체를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절제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오갔다.

또 생활방역 체제 전환 후 다시 신규 확진자가 늘어나는 등 사태가 악화하면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의료계 전문가들 역시 코로나19 사태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종식되지 않는 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생활방역에 녹아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지역사회 감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고, 미국이나 유럽 등 해외에서 코로나19가 유행하는 한 해외유입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쉽게 종식되지 않는다"며 "생활방역에 들어간다고 해도 계속 마스크를 착용하고 사람들과 만나는 활동을 자제하는 노력은 계속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주말에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끝내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지난달 22일부터 2주간 처음 시작됐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이달 19일까지 한차례 연장됐다.

/연합뉴스